중학교 과학수업에서 TGT 협동학습의 적용 효과

Author(s)
김은숙
Advisor
남석현
Department
교육대학원 공통과학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1-02
Language
kor
Keyword
TGT 협동학습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TGT 협동학습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과학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 수원시에 소재하는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 5개 학급을 선택하여,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 학급 108명에게는 TGT 협동학습을, 2개 학급 73명에게는 전통식 학습을 각각 실시하였다. 학습 내용은 두 집단 모두 ‘5. 물질 변화와 규칙성’ 단원으로 하였으며 같은 교사에 의해 같은 진도로 진행되었다. 두 집단 모두 사전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와 과학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였다. 분석은 T-검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통계 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였다. 먼저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를 통해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없었으므로(p>0.05), 두 집단은 동질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 학습태도 검사를 통한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없게 나왔기 때문에(p>0.05), 두 집단은 동질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지는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고 3인의 과학 교사가 검토한 후 사용하였으며, 과학 학습태도 검사지는 Fraser & Fisher(1991)의 태도 검사지를 수정하여 이미 여러 차례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과학 학습태도 측정 도구(이경훈, 1997 ; 김향자, 2002 ; 최대일, 2007)를 사용하였다. 전통식 학습 집단의 경우 수업 처치가 이루어지는 1개월 동안 그 전과 다름없는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TGT 협동학습 집단은 교사가 간단한 설명만 할 뿐, 주로 팀별 활동과 팀 간 토너먼트 게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게임이 모두 끝나면 점수를 산출하여 우승팀에게 집단보상을 해주었다. 수업 처치가 모두 끝난 후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 학습이 이루어졌던 집단 전체 학습자인 73명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와 성취 수준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했을 때 모두 사전과 사후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TGT 협동학습 집단의 경우,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며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고, 성취 수준으로 나누어서 분석했을 때에도 중위 수준을 제외한 상위와 하위 수준의 학습자에게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났다. 이로써, TGT 협동학습이 중위보다는 상위와 하위 수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데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과학 학습태도 검사 결과에서도 전통식 학습 집단에서는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와 수준별로 분석했을 때 모두 사전과 사후에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TGT 협동학습 집단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했을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과학 학습태도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하위 수준을 제외한 상위와 중위 수준의 학습자에게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였다. 이로부터 TGT 협동학습이 하위보다는 상위와 중위 수준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TGT 협동학습의 적용 효과 외에 TGT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생각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TGT 협동학습 집단을 대상으로 TGT 협동학습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조사한 결과, 장점으로는 ‘수업을 재미있게 할 수 있다.’와 ‘게임 성적이 좋을 경우 집단보상을 받을 수 있다.’를 가장 많이 뽑아주었다. 단점으로는 ‘책상을 옮겨 모둠을 만들기 번거롭다.’와 ‘소란스럽다.’라는 의견이 가장 많이 나왔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TGT 협동학습을 과학 수업에 적용시킨다면 학습자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는 충분히 향상될 수 있다. 이 수업을 위해 교사는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하며,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도 연구해야 한다. 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9017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