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적 극놀이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이지숙
Advisor
윤은미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1-02
Language
kor
Keyword
통합적 극놀이사회적 유능감정서 지능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은 건강한 사람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하고, 실제 유아교유기관에서의 통합적 극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정서지능을 증진시키고 유아교육 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적 극놀이 활동자료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통합적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나. 통합적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 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 목적을 위해 경기도 H시에 소재하고 있는 M유치원 만5세 유아 57명을 대상으로 2010년 8월 23일부터 2010년 10월 30일까지 총10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사용된 검사 도구로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로 양옥승, 이영자, 이종숙(1987)이 번안하고 박은성(2008)이 수정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정서 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김경희(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처치는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개정교육과정 내용을 토대로 구성된 유치원 지도서의 교육활동과 동극활동에 사용된 동화를 선정하여 극놀이와 관련된 활동으로 연계하여 구성하고 극놀이의 단계에 따른 활동들을 유치원 하루 일과와 통합하여 진행하였다. 사전활동으로 교사가 들려주는 동화를 듣고 동화 속의 상황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후, 소 모둠으로 구성된 구성원들의 극놀이에 필요한 역할에 대해 토의(문제 제시, 연기자 선정, 관중 준비, 무대 만들기 및 극놀이 소품 만들기, 상연, 재상연, 일반화)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역할을 위해 개인별 또는 모둠 별로 작업을 분담한 후 각자 최선을 다함으로써 구성원 모두가 주어진 역할을 성취할 수 있게 해 주는 과정의 활동인 통합적 극놀이 활동을 8주 동안 매주 3회씩 24회 실시하였다. 실험 처치 후 통합적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SPSS12.0로 전산처리하였으며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극놀이 활동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문제를 검증해 본 결과 통합적 극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일반 교육과정 중의 동화를 활용한 그림그리기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들 보다 사회적 유능감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사회적 유능감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활동성, 사회적 안정성, 협조성, 사회적 참여 및 자율성, 사회적 규범에 대한 순응성, 지도성에 있어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통합적 극놀이 활동으로 증진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통합적 극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일반 교육과정 중의 동화를 활용한 그림그리기 활동을 한 비교집단의 유아들 보다 정서지능에 있어 통계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인, 유아의 자기 정서의 인식 및 표현, 타인 정서의 인식 및 배려, 자기 정서 이용, 정서의 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및 또래와의 관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유아의 정서 지능이 통합적 극놀이 활동으로 증진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통합적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지능을 증진 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합적 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지능을 위해 적합하고 의미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234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arly Childhood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