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핑고신키나제와 세라마이드키나제 억제제 탐색 및 약리작용 연구

Alternative Title
Kim, Jin-Wook
Author(s)
김진욱
Alternative Author(s)
Kim, Jin-Wook
Advisor
유연우
Department
일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6-02
Language
kor
Abstract
국문 요약 생체막에 존재하는 스핑고지질(Sphingolipid)은 인지질(Phospholipid)과 함께 세포막 (Membrane)을 구성하는 주요 물질로서, 세포의 성장, 분화, 사멸 등의 생명 현상을 조절하는 물질이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가 외부 자극을 받아 생체막의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SM)이 분해되어 진행되는데, 스핑고미엘린의 분해물인 세라마이드(Ceramide;CER), 스핑고신 (Sphingosine;SPH), 스핑고신 일 인산(Sphingosine 1-phosphate;S1P)은 세포 내 2차 신호 전달자 (Second messenger)로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Pichia ciferrii 효모를 이용한 발효를 통해 얻은 phytosphingosine(PHS)을 유도체 합성의 기초물질로 사용하였으며 N-alkylation, O-alkylation, intramolecular cyclization, Pegylation을 통하여 스핑고지질 유도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Chiral Aziridine-2-Carboxylates를 시작 물질로 이용하고, alkylation반응을 통한 aziridine ring opening, dehydrogenation을 통한 debenzylation, acylation반응을 거쳐 스핑고지질 유사체를 제조하였고, 이 물질들을 이용하여 스핑고신키나제와 세라마이드키나제의 저해 효과를 탐색하였다. 스핑고신키나제(Sphingosine kinase : SPHK)는 SPH를 인산화시켜 S1P로 전환시키는 효소로서 최근 발암 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이 제기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스핑고신키나제 억제제인 디메칠스핑고신(N,N-dimethylsphingosine:DMS)보다 스핑고신 키나제 억제효과가 우수한 수개의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모노메칠파이토스핑고신(N’-monomethylphytosphingosine;MMPS)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모노메칠파이토스핑고신이 세포 내 SPHK활성을 억제하여 SPH 및 CER를 축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여러 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특히 항암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와 함께 사용한 실험에서 Synergy효과가 우수하여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증가시켰으며 이는 MMPS가 방사선 민감제 (sensitizer)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지리딘링(Aziridine ring)을 이용하여 합성한 스핑고신 유사체 중 SPHK 2에 대해 특이적인 억제효과를 가지는 SG12와 SG14를 얻었다. 기존의 SPHK저해제인 DMS는 SPHK의 subtype에 대한 선택성이 없고, 프로테인 키나제 C(Protein kinase C; PKC)도 억제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SG14는 SPHK1과 PKC는 저해하지 않고, SPHK2만 억제하였다. 면역억제제로서 개발되고 있는 스핑고지질 유사체인 FTY-720이 세포 내에서 SPHK 2에 의해 인산화되어 활성화 되는 것이 확인되면서, SPHK2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SG14은 immune modulator의 활성화 조절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세라마이드 1 인산(C1P)은 CERK에 의해 CER가 인산화되어 생성되며, 세포 사멸의 억제 및 면역세포에서 탈 과립화에 관여하는 것이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유도체 중 CERK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얻었다. CERK 저해제인 K1은 SPHK나 디아실글리세롤키나제(DGK)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CERK만을 억제하였다. K1이 면역세포인 mast cell의 탈과립(degranulation)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CERK 와 C1P가 알러지(Allergy) 반응에 관여함을 확인하였으며, CERK 저해제가 과민 면역반응의 억제에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17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olecular Science and Techn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