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유아를 통합하고 있는 학급에서는 장애유아와 비 장애유아의 사회적인 통합을 위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유치원의 장애유아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와 비 장애유아의 사회적 통합을 돕기 위한 효과적인 상호작용과 장애이해의 교육활동방법으로 실제 유아들의 영역별 활동을 녹화하여 재구성한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1-1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1-2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 및 태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장애유아를 통합하고 있는 만5세반 4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절차는 연구사전승인, 교사교육, 예비검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8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활동내용으로는 실제 유아들의 영역별 활동녹화자료를 재구성한 통합영상자료 활동을 시청(20분), 토론활동(10분) 등 30분 활동과 영역별 활동으로는 자유선택활동2회, 이야기나누기 2회, 조형활동 2회, 게임 2회, 야외학습 2회 등 10회의 활동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여 이에 따른 장애-비 장애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및 태도변화를 도구(교사평정, 행동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여 관찰, 측정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전, 사후 검사 후 SPSS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상호작용 촉진활동은 유아들의 흥미를 유발시켰으며 장애유아에 대한 비 장애유아의 태도 변화 및 이해와 상호작용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상호작용 행동을 관찰한 결과 장애유아, 비 장애유아의 시작 반응행동, 회기별, 활동영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장애- 비 장애유아의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비 장애유아와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통합영상자료를 활용한 교육활동이 장애-비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장애- 비 장애유아의 사회적, 경제적, 시간적, 물리적 요인으로 인한 일반유치원에서의 통합 활동의 어려움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우며 현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일과 운영 중 쉽게 활용할 수 있고 통합 환경에서 장애유아뿐만 아니라 비 장애유아의 문제행동과 생활 지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적인 측면의 방향을 제시한 점에 의의를 두며, 앞으로도 장애-비 장애유아의 사회적인 통합을 위해서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상호작용촉진활동과 함께 비 장애유아의 행동특성까지도 고려한 프로그램개발 및 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