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의창의성교육실태및교사역할에대한인식연구

Alternative Title
Jang Hyang Sun
Author(s)
장향순
Alternative Author(s)
Jang Hyang Sun
Advisor
임춘금
Department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9-02
Language
kor
Keyword
창의성교육
Abstract
국 문 요 약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 실태 및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본 연구는 수원지역 어린이집(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에서 근무하는 20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기관의 창의성 교육 실태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집의 유아 창의성 교육의 실시 현황은 어떠한가? 1) 유아창의성 교육의 실시 현황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는 가? 1)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은 차이가 있는 가? 2) 교사의 특성(학력, 경력, 자격 )에 따라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역할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어린이집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및 창의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원지역 어린이집 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에 대한 질문지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에 대한 질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에 대한 질문지는 안정숙(2007)의 선행연구의 사용도구를 일부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 보완하여 개발하였다. 수정보완 후 유아교육 전문가 3인과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10인에게 그 타당성을 검증받아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미옥(1999)이 개발한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응답자의 창의성 교육 실태를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교육 영역과 수업 시간, 어린이 집 창의성 교육 실태, 교사 역할 인식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s)과 일원변량분석(ona way-anova)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어린이집 유형, 교육경력, 최종학력, 교사의 소지 자격증,)에 따른 교사 역할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a way-anova)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담당 학급 및 창의성 관련 참여도를 보면 만2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 관련 과목 수강 여부를 보면, 1~2과목이 가장 높았고, 창의성 관련 연수 및 프로그램 참여 여부는 없음이 50%이상 나타났다. 이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장 여건상 교사의 재교육 기회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교육기관에서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수업 개설 여부를 보면, 없다가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 교육 영역과 수업 시간을 보면, 언어능력발달 영역 수업 시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를 위한 창의성 교육을 받은 경로를 보면, 관련 서적을 통해서가 가장 높았다. 유아의 창의성 교육 실시 방법을 보면, 교사 스스로가 준비한다가 가장 높고, 향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받는다면, 받고 싶은 프로그램을 보면, 창의성 전문 교육연구소 프로그램이 가장 높았다. 창의성 교육에서 유아의 반응이 소극적이라면 수업 시간이 길어 집중력이 떨어져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창의성 교육에 성별에 따른 흥미도와 수업을 진행할 때의 방법에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흥미가 높았다. 성별에 따른 흥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아동 중심의 교육으로 했을 때 가 유아의 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창의성 교육 실태 차이를 보면, 기관 원장님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는 법인 어린이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 차이도 법인 어린이집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 역할의 인식 차이는 민간어린이집 교사가 법인, 국공립, 가정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인식 수준이 높아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교사의 개인 특성에 따른 창의성 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인식의 차이는 학력에 따른 인식 차이는 전체 교사 역할 인식은 4년제 대졸 이상 교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른 인식 차이는 전체 교사 역할 인식중 5년 이상 경력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의 역할 인식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소지자격증에 따른 교사 역할 인식 차이는 2급 보육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2급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와 2급 보육교사 자격증 소지자, 3급 보육교사 자격증 소지자 간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어린이집에서의 창의성 교육 실태는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창의성 교육을 받을 기회가 매우 저조함을 나타내고 있다. 영유아기는 창의성 발달에 중요한 시기이며 창의성 계발에 꼭 필요한 창의적 상상력은 4세에서 4세 반 사이에 절정에 이르며 특히, 0~5세가 단계로서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강조(Torrance,1963; Dacey, 1989)한 학자들의 견해에 비추어 본다면 어린이집에서의 창의성 교육은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또한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기회가 낮다고 볼 때, 앞으로 다양한 교사 연수와 교육을 통하여 어린이집에서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양한 창의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72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arly Childhood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