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터라아제의 구조적 그리고 기능적 연구

Alternative Title
Structural and Functional Studies of esterases
Author(s)
Kim, Seung Bum
Alternative Author(s)
Kim, Seung-Bum
Advisor
Ryu, Yeon-Woo
Department
일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0-08
Language
eng
Keyword
esterase(R/S)-ketoprofen ethyl esterprotein three demansional structureenantioselectivitysite directed mutagenesis
Alternative Abstract
광학이정질체 분리에 사용되기 위한 효소들은 높은 열안정성과 유기용에 대한 내성 뿐만 아니라 높은 입체이성질체 분리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R,S)-ketoprofen ethyl ester에 대한 높은 광학선택성을 가진 효소를 찾고자 다년간 연구한 결과 (R)- ketoprofen ethyl ester 대한 높은 광학 선택성을 가지는 에스터라아제 JY144 와 (S)-ketoprofen ethyl ester에 높은 광학선택성을 가지는 에스터라아제 1767 과 광학선택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에스터라아제 EST 25, 그리고 (S)-ketoprofen ethyl ester에 대하여 좀더 높은 광학선택서을 보이는 에스터라아제 Est-Y 29 와 (R)-ketoprofen ethyl ester 좀더 높은 광학선택성을 가지는 에서터라아제 Est-AF 등 다섯 종류의 에스터라아제를 분리하였다. 효소반응 중에 효소의 광학 선택성을 증가 시기기 위한 조건을 찾기 위해 에탄올등을 포함한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실험을 한결과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첨가 되었을 경우에 EST 25의 광학선택성이 증가 하엿다. 어떤 이유로 각각의 에서터라아제가 각기 다른 광학선택성을 가지는지 밝혀내기 위하여 기질과 효소의 활성 부위 및 기질 결합 부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효소의 3차 구조를 밝혀내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다. 단백질의 3차 구조를 풀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단백질 결정을 얻는 것이 처음 단계인데, 이들 5종의 효소들 중에 EST 25 와 Est-Y 29의 단백질만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얻는 단백질 결정으로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하여 이 두 단백질의 3차 구조를 풀 수 있었으며, 효소 촉매 작용에 관여하는 세린을 알라닌으로 바꿔 효소 활성을 없앤 돌연변이 효소와 기질을 함께 결정화 하여 기질이 결합 하고 있는 효소의 3차 구조 역시 풀 수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효소의 광학선택성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 을 아미노산 잔기들을 선택하고 이들 선택된 아미노산을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하는 site directed mutagenesis 방법으로 점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광학선택성이 변한 돌연변이 효소를 획득 할 수 있었다. 이 두 효소의 3차 구조 정보 이외에 다른 광학선택성을 가지는 효소의 3차 구조를 밝히면 위의 두 3차 구조 정보와 함께 단백질의 광학선택성에 관한 정보를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다른 효소들의 아직 결정을 획득 하지 못하였다. 단백질 경정을 얻지 못한 단백질 중 (S)-ketoprofen ethyl ester에 높은 광학선택성을 가지는 에스터라아제 1767 와 비슷한 광학선택성을 가지는 효소를 찾기위하여 1767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가지고 생물정보학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 새로운 효소들을 찾았다. 새로이 찾은 이 효소는 Caulobacter crescentus CB15로부터 유래했으며, 1767 과는 38 % 의 상동성을 보인다. 이 새로운 에스터라아제는 ketoprofen ethyl ester 대한 광학 선택성 없었다. 그러나 기질의 농도가 높을 경우에는 광학선택성이 감소하였다. 이 효소의 3차 구조를 얻기 위하여 단백질 결정화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에스터라아제와 1767의 3차 구조를 밝혀 Est 25와 비교를 하면 효소의 구조와 광학선택성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362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olecular Science and Techn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