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하기 활동 수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독해력, 장기기억력,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The Effectiveness of Summarizing Tasks in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on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Long-term Memory and Affective Domain
Author(s)
김학미
Alternative Author(s)
Kim, Hak Mi
Advisor
김현옥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1-02
Language
kor
Keyword
요약하기 활동 수업읽기 후 활동장기기억력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후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요약하기 활동 수업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들의 독해력, 장기기억력, 정의적인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요약하기 활동으로는 Marzano, Pickering과 Pollock(2001)의 여섯 가지 요약 프레임(summary frames)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안산시에 소재한 인문계 C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83명을 대상으로 1주일에 2시간씩 총 5주에 걸쳐 10시간 동안 읽기 후 단계에서 여섯 가지의 요약 프레임을 활용하여 요약문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요약하기 활동을 통해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는 영어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수업 사전・사후 독해력 평가를 실시하였고, 장기기억력 평가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 프레임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 수업은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하위 집단 학생들의 하향식 독해력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장기기억력 평가를 통해 요약 활동이 읽기 후 일반 활동보다 본문을 기억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요약하기 활동 수업은 정의적인 측면에서 학생들에게 영어 읽기 활동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키고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영어 읽기와 요약하기는 학생들에게 여전히 불안감으로 남아 있었다. 즉, 글의 종류에 따른 여섯 가지의 다양한 요약 프레임을 활용한 요약하기 활동 수업이 학생들의 독해력, 장기기억력과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도와 이해도를 높여 주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나, 새로운 방법을 활용한 단기간에 걸친 수업으로 학생들의 요약하기 활동에 대한 불안감을 불식시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읽기 후 단계에서 요약하기 활동 수업을 장기적으로 시행한다면 학생들의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계적이며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다양한 요약 활동을 적용하여 지도한다면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나아가 읽기 능력의 향상과 창의적인 글쓰기에까지 분명 긍정적인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인 지도의 효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장기적이고 광범위한 요약문 쓰기 지도의 효과와 요약하기 활동 수업과 장기기억력의 상관관계에 관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기대된다.
Alternativ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ummarization task as post-reading activity in high school classrooms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nd learners' long-term memory on reading texts. As a summarization task, 6 summary frames offered by Marzano, Pickering and Pollock (2001) were used in summarizing class. The subjects were 83 female students in 10th grade in C high school. The experimental classes including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summary frames were conducted for 5 weeks-twice a week for fifty minutes each. According to the subjects' scores of the previous reading test, the results were analyzed into high, middle, and low group. In order to see the effectiveness of the English class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by using summary frames, the leaners' ability to comprehend texts related to 6 summary frames were assess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ir long-term memory on the reading texts were assessed one month after finishing a 5 weeks' summarization instruc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the learners' scores between the pre-reading test and post-reading one, and their responses to questionnaires at the end of the summarization instruction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ummarization instruction by using summary frames had a meaningful progress on the learners' reading ability, especially the low group showed remarkable progress on the top-down comprehension. Second, the summarization instr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ers' long-term memory on the texts they summarized by using summary frames. Third, the summarization instruction changed learners' attitudes toward summarization task more positively. The strong motivation and need for summarization instruction were observed in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But the anxiety for reading and summarizing still remained among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using summarization task as a post-reading activity could enhance learners' ability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long-term memory on the texts. Further extensive and long-term studies are required to draw more positive implications on summarization instruction.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development of texts should be tailored to the needs of students.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mmarization instruction and long-term memory on the texts.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790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nglish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