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 비교분석

Alternative Title
Jeong, Se-Hee
Author(s)
정세희
Alternative Author(s)
Jeong, Se-Hee
Advisor
조재형
Department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7-02
Language
kor
Abstract
국제 개방화의 흐름 속에서 국제어인 영어 구사 능력의 필요성은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이것은 세계화 시대에 영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개인은 밀려오는 세계화의 물결에서 낙오될 수밖에 없음을 의미한다. 이에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고등학교 10학년 이후 심화 선택과목으로 ‘영어회화’ 과목을 개설하고 학습자가 활동이나 과업을 통해서 실제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Skierso의 교과서 평가 기준안과 교육부에서 제시한 교과서 검정 기준안을 근거로 하여 현행 고등학교 영어회화 교과서 8종을 분석함으로써 교과서를 선택하는 교사들에게 교과서의 선택 및 활용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질 높은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교과서의 단원별 구성체제를 분석한 결과, 언어의 기능 측면에서 볼 때 모든 교과서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가지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는 않았다. 영어회화 교과서의 특성상 듣기와 말하기에 중점을 두어 의사소통 기능을 집중적으로 훈련시킬 수 있는 상호작용 적인 활동들을 실제적인 상황으로 제시하여 구성하였다. 읽기 기능은 대부분의 교과서가 문화에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졌고, 쓰기의 경우는 제시 비중이 다른 기능에 비해 가장 작았다. 교과서는 영어회화 교과서의 성격에 맞게 듣기와 말하기 활동에 중점을 두되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인 구성에 또한 소홀해서는 안 될 것이다. 둘째, 의사소통 활동을 위한 각 교과서별 의사소통 기능 항목을 분석한 결과, 제시된 모든 항목을 다루고 있지는 못했지만, 대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고등학생이라는 학습 대상자를 고려하여 학습자가 비교적 흥미를 가질 수 있고 또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을 것 같은 ‘친교활동’과 ‘문제해결’에 관한 항목들이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있고, 반면에 ‘도덕적 태도표현’과 ‘설득과 권고’의 항목들은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교과서는 몇 개의 기능 항목에 집중하기 보다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하고도 실질적인 항목들을 적절히 다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각 교과서가 적합한 소재를 다루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각 교과서는 전반적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한 소재를 비교적 충실히 다루고 있었다. 그러나 ‘정서순화와 합리적 사고력 배양‘과 ’애국심 함양과 안보‘에 도움이 되는 내용 등의 다소 딱딱할 수 있는 소재에 관해서는 모든 교과서가 한번도 다루고 있지 않았다.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소재도 중요하지만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더욱 다양한 소재의 개발 또한 필요하겠다. 넷째, 교과서에 단원별로 제시된 신출 어휘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수준에 알맞은 어휘의 선정뿐만 아니라 단원별 신출 어휘의 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분석한 대부분의 교과서들은 단원별 신출 어휘수가 고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는 단원별 어휘량에 있어서 점진적인 어휘량의 증가를 보이면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학습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Skierso의 기준표에 따른 제 영역 분석을 하였다. Skierso의 교재 평가 기준을 근거로 하여 각 교과서의 점수를 낸 결과, A 교과서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B 교과서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과제제시의 영역에서는 높은 점수를 나타냈지만, 격식과 격식을 차리지 않은 언어의 구분, 그리고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구별을 제시해주는 것에 관한 언어재료 영역에 있어서는 취약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현장에 있는 교사는 더욱 질 높은 교과서를 선택하는데 용이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교사가 교과서의 취약한 부분에 있어서는 이를 개선하여 교과서 외의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한 수업 활동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671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English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