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무상보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과
부모의 인식 비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무상보유 정책에 대한 부모와 시설을 운영하는 원장의 인식 및 만족도를 비교하여 이를 토대로 무상보육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국.공립), 어린이집(국.공립, 민간, 가정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학부모 300명 및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을 운영 하고 있는 원장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학부모 271부, 원장215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질문지중 문항기록이 미비하거나 불성실하게 작성된 질문지 20부를 제외한 학부모 258부(90.3%), 원장 208부(71.6%)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보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영유아 무상보육 지원으로 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유아교육기관 선택 시 결정적 영향은 집에서의 거리를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으며, 양육수당 지원으로 입소 여부를 고민한 적이 없는 학부모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님들의 학력이 낮고 전업주부이며 월 평균 소득이 낮은 가정의 부모들이 입소 여부를 고민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수당이 늘어날 경우에는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상보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자녀의 양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때문이라는 답변이 많았으며, 무상보육실시가 자녀를 교육기관에 보내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가정의 월 평균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기관 변경 시 국공립 유치원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무상보육 혜택으로 출산율 증가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상보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의 인식을 연구 해 본 결과 무상보육 실시전과 후 원아모집의 변화에 대해서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상보육의 도움을 묻는 질문에서는 잘 모르겠다는 결과가 나왔으며, 양육수당지원 확대는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상보육 실시 연령에 대해서는 현행처럼 0~만5세까지를 원하고 있었으며, 무상보육 후 가장 신경이 쓰이는 부분은 교육과정(프로그램) 및 교육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상보육에 대한 학부모와 원장의 인식을 비교해 보면 무상보육 비용 부담에 대한 학부모와 원장의 인식에 대해 분석한 결과 부모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이 가장 높았고, 무상보육 실시 시, 확충 되어야 할 교육기관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학부모는 국공립 유치원이 확충 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원장 교육기관은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을 보였다.
무상보육의 보완점을 묻는 질문에서 학부모는 국공립 유치원 확충과 예산부족으로 혜택을 못 받게 될 것이라는 불안감 이며, 원장은 무상보육정책 보완점 보육료의 현실화와 가정의 보육기능 약화 문제에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넷째, 무상보육 대한 학부모와 원장의 만족도를 비교해 보면 무상보육 대상 연령, 혜택, 보육료지원, 교육비 부담 절감, 부모의 요구도 반영, 교육기회 확대, 국민에게 주는 이익, 보육료 지불방식, 양육수당, 이용할 수 있는 교육기관의 수, 교육의 질 향상에 대한 질문 등 모든 분야에 대해 학부모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보육정책을 인식하고 만족도를 점수로 표시하는 것은 원장 자신이 지각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실제 보육현장에서 정부정책에 대해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인 평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무상보육 정책으로 학부모 및 원장들은 보육료 지원도 중요하지만, 더욱 근본적인 것은 양질의 보육서비스이다. 이를 위해 공보육 시설의 확대 및 민간시설의 지원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어떤 지원 체계의 개선이 필요한지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정책 수립에 있어 정책 수요자인 학부모들의 정책 만족도에 비해 정책관계자의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의 정책만족도는 낮았다. 그 이유로 정부의 지원은 미흡한 상태에서 과도한 관리감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교육의 질 향상으로 표준보육료 책정을 현실화가 가장 중요하며, 민간시설의 자율성을 보장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