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유아가 처한 이중언어 환경체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와 서울특별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가정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3. 사회적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이중언어 환경에서의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유아의 이중언어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환경, 가정환경, 사회적 환경으로 나누어 조사되었다. 그 결과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중언어 환경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다문화 학습환경 및 지지체계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문항 중에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이나 언어가 민족적, 문화적 편견이 담겨 있는지에 대한 점검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유아측면과 어머니측면에서 보통 이상의 동일한 인식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문항에서는 이중언어를 사용하는 유아는 어머니와 친밀감을 높일 수 있으며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은 자녀의 이중언어 발달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환경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하위범주 중 사회적 지원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하위문항에서는 한국인과 결혼한 외국인 또는 외국인과 결혼한 한국인 배우자의 언어·문화를 배워야 한다는 것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중언어 환경에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결혼여부, 담당연령, 이중언어 지도의 필요성, 전공,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환경별 인식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환경에서는 담당연령, 이중언어 지도의 필요성, 근무기관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정환경에서는 담당연령, 이중언어 지도의 필요성, 전공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사회적 환경에서는 결혼여부, 담당연령, 이중언어 지도의 필요성, 근무기관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