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기능과 건강증진행위

Alternative Title
Family Func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한수연
Alternative Author(s)
Han, Su Yeon
Advisor
현명선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0-08
Language
kor
Keyword
가족기능건강증진행위고등학생
Abstract
청소년기는 성인기의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하는 건강습관이 만들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가족기능은 청소년의 신체 및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청소년의 건강 상태는 가족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청소년에 있어서 가족의 역할 및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있는 고등학생 가정의 가족기능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가족기능이 건강증진행위와 어떠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함으로써 고등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증가시키고,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족기능 환경을 마련하며,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하는 한 고등학교의 1,2 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502명을 대상으로 2009년 9월 14일부터 23일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신뢰도는 가족기능 유형에서 가족 결속력은 Cronbach’s Alpha .911 이었고, 적응력은 .913 이었다. 건강증진행위는 Cronbach’s Alpha는 .903이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Chi-square Tes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들의 가족기능 전체 평균은 60.6 점이었다. 가족결속력은 32.2 점, 가족 적응력은 28.4점 이였다. 가족 결속력 유형별로 살펴본 가족기능의 평균은 이탈군 51.58점, 분리군 63.71점, 연결군 73.12점, 밀착군 평균 81.8점 이었다.가족 적응력의 유형별 평균은 경직군 39.82점, 구조군 58.45점, 유연군 70.16점, 혼란군 49.70점 이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평점은 4점 만점에서 전체 건강증진행위는 2.76점, 건강책임 2.82점, 영양과 운동은 2.68점, 스트레스 관리 2.51점, 대인관계지지 3.09점, 자아실현 2.89점이었다. 가족기능유형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결과는 가족 결속력에서 이탈군 123.80점, 분리군 130.55점, 연결군 140.47점, 밀착군 147.26점으로 나타났다. 가족 적응력에서는 경직군 117.28점 이었고, 구조군 128.84점, 유연군 136.01점, 혼란군이 122.52점으로 나타났다. 가족 결속력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F=27.24, p<.001), 가족 적응력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F=17.75, p<.00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기능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가정의 한달 수입과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 가족기능 유형 중 결속력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²=25.946, p<.001;χ²=9.406, p=.047). 가족 적응력은 아버지의 직업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χ²=14.918, p=.0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수행 정도는, 학생성적(F=18.889, p<.001), 한달 수입 (F=6.971,p<.001), 어머니학력(F =3.754, p=.024), 부모의 건강관심도(F=8.977,p<.001), 자신의 전반건강 상태(F=13.393,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기능의 가족 결속력과 적응력은 건강증진행위정도와 유의한 차이를 보여, 고등학생의 가족기능 정도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간호사는 청소년들의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고 올바르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 개인의 특성을 중재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가족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하고, 역기능적 가족에 대한 상담 및 포괄적인 가족적 접근 중재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Alternative Abstract
Teenage period is an important period that build healthy habit. Family function effects teenager’s physical and mental health. Family function is important because teenager’s health condition effects the family and society. This research surveyed high school students’family function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ction level to find out relations of family function to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s could provide basis of further study. The survey was collected from 502 high school freshmen and sophomores from 2009 Sept 14th through 23rd. Collected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 12.0 Progra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Overall average for family function was 60.6. Family cohesion score was 32.2, and family adaptability score was 28.4. Looking at the family cohesion section, family function average for outlier group was 51.58, and separate group average was 63.71, connected group average was 73.12, and adhered group average was 81.8. Looking at family’s adaptability section, cold group score was 39.82, structured group score was 58.45, flexible group score was 70.16, and chaos group score was 49.7. Subject groups’health promoting behavior level average was 2.76. health liability score at 2.82, nutrition and workout score was 2.68, stress control score was 2.51,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ore was 3.09, and goal accomplishment score was 2.89. Looking at family function sec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 level result is as follows. Family cohesion score for outlier group was 123.80, separated group was 130.55, connected group was 140.47, and adhered group was 147.26. Family adaptability score for cold group was 117.28, structured group was 128.84, flexible group was 136.01, and chaotic group was 122.52. In the difference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 Subject’s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 and family function is related to monthly income of the father and his job and it has some relations to family cohesion (χ²=25.946,p<.001;χ²=9.406,p=.047). Also, father’s job have some relations to family’s adaptability(χ²=14.918,p=.021). Other things did not have impact on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After these surveys, 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level. Therefore school students’family function level is related to cohesion and adaptability. Nurses should provide programs that will encourage teenager to do health promoting behavior correctly and also the program should be well designed for their specialty. The programs should improve family function and consulting the family for closer relationship of families and nurses is necessary.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9653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