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교육에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lternative Title
Kang Hye Young
Author(s)
강혜영
Alternative Author(s)
Kang Hye Young
Advisor
김성완
Department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2-08
Language
kor
Keyword
스마트교육정보기술수용모형경로분석
Abstract
이 연구는 스마트교육에 있어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기술적 특성, 사회적 특성의 요인들을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이 요인들 중 사회적 특성이 수용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이 부족하여 상호작용성과 사회적 영향을 사회적 특성 변인으로 채택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세웠다.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Ⅰ).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Ⅱ). 상호작용성은 지각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가설Ⅲ).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친다(가설Ⅳ). 사회적 영향과 상호작용성은 서로 영향을 미친다(가설Ⅴ). 지각된 유용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가설Ⅵ).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친다(가설Ⅶ). 이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기존 정보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스마트교육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모형을 개발하였다. 잠재모형의 예비타당성 검증절차를 거친 후, 경기도 A연구소의 스마트교육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이수한 서울·경기지역 초·중·고등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면, χ²값은 6.600, 유의확률은 .086으로서 유의수준 .05에서 모형과 자료가 일치한다는 영가설이 채택되었다. GFI, CFI, TLI 값은 각각 .98, .99, .99로 높은 적합도 수준을 보였고, RMSEA 값은 .09로서 다소 높은 값을 보이지만 본 연구모형에서는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모형은 적합한 모형이라고 판단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볼 수 있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302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Computer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