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영어 노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및 학습요구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맹은경 |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정 | - |
dc.date.accessioned | 2018-11-08T07:51:20Z | - |
dc.date.available | 2018-11-08T07:51:20Z | - |
dc.date.issued | 2010-02 | - |
dc.identifier.other | 10394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8073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2010. 2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수업에서 쓰고 있는 교과서 노래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학습자들이 영어 노래에 대해 얼마나 흥미 있어 하는지 알아보고 또한 학습자의 연령, 학교 외 영어 학습 유무, 영어 학습 기간, 자기평가에 따라 노래의 흥미에 대한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해보고 결과를 바탕으로 노래에 대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3․4․5․6학년 학생 257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노래활동에 대한 흥미도는 남학생(M=3.2155)보다 여학생(M=3.5270)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학년 M=3.7895, 4학년 M=3.3945, 5학년 M=3.3338, 6학년 M=3.0334). 또한, 영어학습기간이 긴 아동일수록 짧은 아동에 비해 노래활동에 대한 흥미도(없다 M=3.0781, 0~1년 M=3.1639, 1~3년 M=3.4336, 5년이상 M=3.7930)가 높았으며, 영어실력에 대한 자기평가가 높은 아동일수록(매우잘함 M=3.6667, 잘함 M=3.6649, 보통 M=3.3251, 못함 M=3.0815, 매우못함 M=2.7042), 영어를 선호하는 아동일수록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매우좋아함 M=3.9225, 조금 좋아함 M=3.5264, 보통 M=3.2500, 좋아하지 않음 M=2.5625, 매우 싫어함 M=2.0547). 위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영어 노래를 지도할 때에는 학습자변인을 고려하여 여학생 비율이 높은 반을 지도할 때에는 노래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영어노래에 대한 노출의 기회를 많이 주어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둘째, 영어노래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에서는 재미가 없어서라는 응답(51%)이 가장 많았다. 학습자 변인에 따라 남학생의 경우 재미가 없어서라는 응답(24.3%)을 가장 많이 했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부끄러워서라는 응답(31.3%)을 가장 많이 했다. 학년별로는 3학년(30.04%)과 5학년(25.5%)은 부끄러워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4학년(34.4%)과 6학년(41.9%)은 노래가 재미가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 영어를 좋아하는 학생들 중에는 노래 부르는 것이 부끄러워서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는 응답(23.8%)이 많았지만, 영어를 좋아하지 않는 학생들은 노래가 재미없다(50%)는 응답이 더 많았다. 영어로 노래 부르는 활동을 부끄러워하는 아동을 고려하여 개별로 노래를 부르게 하는 것은 지양하고 저학년일수록 노래를 동작과 함께 지도하는 것이 좋다. 또한 재미가 없다고 응답한 학습자를 고려하여 교과서외 노래를 안내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셋째, 학습자들이 바라고 있는 영어 노래 배우기 방법에서는 교과서 노래를 가사와 동작을 활용하여 배우고 싶다는 응답(34.5%)이 가장 많았으며, 남학생의 경우는 교과서 노래를 가사와 동작을 활용하여 배우고 싶다고 응답(41.7%)했으나 여학생들은 유행하는 대중가요의 가사를 바꾸어 부르고 싶다는 응답(35.8%)이 더 많이 나왔다. 영어를 좋아하는 학생들은 교과서 노래를 가사와 동작을 활용하여 배우기와 더불어 교과서 단원에 맞는 내용의 외국곡 배우기라는 응답을 많이 했지만, 싫어하는 아동은 그냥 교과서의 노래를 동작을 활용하여 배웠으면 한다는 반응을 많이 보였다. 영어 학습의 기회가 많은 아동일수록, 고학년일수록 교과서 노래에 대한 흥미도가 떨어지므로 교과서 노래 선정과 지도시 학습자 변인을 고려하여 학년별로 다양하게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영어 노래의 학습효과에서는 영어노래가 발음 익히기에 좋다는 응답(36.9%)이 가장 많이 나왔으며, 학년에 따라 3학년은 단어알기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고, 4학년과 5학년의 경우에는 발음 익히기, 6학년의 경우에는 문장 익히기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노래를 통하여 학습자들은 어휘와 발음을 익힌다고 응답하였는데, 이를 위하여 영어 억양과 발음에 맞는 멜로디를 교과서 노래에 구성해야 한다. 다섯째, 영어노래 부르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생각에서는 ‘노래를 동작과 함께 배우면 좋겠다’라고 응답한 학습자가 30.4%로 가장 많았다. ‘더 재미있는 노래를 배우면 좋겠다’라는 응답과 ‘하던 대로 하면 좋겠다’라는 응답이 각각 16.6%로 다음으로 많았으며 ‘내용에 맞는 외국 곡을 배우면 좋겠다’라는 응답(10.5%)과 ‘노래를 더 많이 부르면 좋겠다’라는 응답(9.9%)도 많이 나왔다. 이는 영어 노래 활동시 수업방법에서 좀 더 활동적인 내용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습자변인을 고려하여 저학년일수록 수업방법을 활동적으로 구성하여야 하고 고학년일수록 학습자들이 만족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노래를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래활동 뿐만 아니라 영어교재에 포함되어 있는 활동들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 3 3.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1. 외국어 교육에서의 노래의 중요성 = 5 2. 제7차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노래활동 = 6 3. 노래를 이용한 영어 학습과 흥미도 = 11 Ⅲ. 연구 방법 = 16 1. 연구 대상 = 16 2. 조사 도구 = 17 3. 자료 분석 = 19 Ⅳ. 결과 및 논의 = 20 1. 학습자 변인에 따른 흥미도 분석 = 20 2. 학습자들이 Let's sing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지 않는 이유 = 24 3. 학습자들이 바라고 있는 영어 노래 배우기 방법 = 30 4. 영어 노래의 학습효과 = 34 5. 영어노래 부르기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생각 = 37 V. 결론 및 제언 = 42 1. 결론 = 42 2. 제언 = 44 참고문헌 = 46 부록 = 49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초등영어 노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 및 학습요구 분석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 - |
dc.date.awarded | 2010. 2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568518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394 | - |
dc.subject.keyword | 초등영어 | - |
dc.subject.keyword | 노래활동 | - |
dc.subject.keyword | 흥미도 | - |
dc.subject.keyword | 학습요구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