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술시로서의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백석의『사슴』과 서정주의『질마재 신화』의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야기, 어휘, 시간, 공간의 담론구조상 특징을 대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사성과 차이점에 대한 비교 연구는 한 텍스트에서 발견할 수 없는 정보를 상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상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가능케한다.
지금까지 다룬 논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Ⅱ장에서는 서술시의 특징인 ‘이야기’가 시 속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비교하였다. 백석 시의 소재는 체험이야기가 많다. 주지주의 기법으로 반복 열거한 혈족 이름, 음식 이름, 놀이 제목 등에서 가족 연대감과 토속성을 느낄 수 있다. 서정주의 시는 문헌설화 및 구전설화에서 소재를 인용하였고 풍자적이고 해학적이며 그로테스크하다. 금기가 되는 사건과 인물을 통해 교훈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사슴』에는 1930년대라는 현실적으로 궁핍했던 시기에 한 편의 동화 같은 가족의 모습을 유년 화자의 관점으로 형상화하였다. 어린 화자의 서술체는 향토적이고 민속적인 세계에 침잠하는 데 기여하고 유년의 향수와 추억을 대변하는 기능을 한다. 『질마재 신화』에서는 다양한 어른 화자를 등장시켜 강력한 목소리로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비루하고 결함 있고 금기시 되는 인물과 사건들이 다양한 어른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욕망을 배출시키거나 신성시하는 것이다. 백석과 달리 물질주의화되어가는 현 세태에 대한 비판의식이 있다.
Ⅲ장에서는 방언과 토속어 등의 어휘를 대비 분석하였다. 먼저 백석의 시에서는 평안도의 지명, 의성어, 의태어, 시각과 미각, 후각, 촉각에 의존한 감각적이고 비유적인 시어를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 이는 고향탐구이자 자신의 근원탐구라는 백석 시의 주제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서정주의 시에서는 전라도 방언과 판소리 요소가 많으며 장르 혼합 양상이 나타난다. 또한 백석 시와 달리 속어, 비어 등을 과감히 사용하여 서민의 신산한 삶을 그리면서 시의 궁극에 가서는 일상과 이상향을 넘나드는 소통을 보인다.
또한 ‘방’, ‘마당’, ‘집’, ‘고향’등 유사한 소재와 함께 두 시집의 작품들에는 음식물 관련 어휘가 많이 나온다. 백석에게 음식물은 추억에 얽힌 그리움의 대상이고, 서정주는 배설 및 정화로 받아들인다. 서정주는 음식물이 배설될 때 억압된 주체도 나오고 정화된다는 순환의 논리를 갖고 있다.
Ⅳ장에서 고찰한 것은 시간과 공간에 포착된 특성이다.『사슴』에 나타난 시들은 주로 추억에 얽힌 과거지향적인 시간들이다. 그러한 의식의 기저에는 운명순응주의가 자리한다. 서정주의 시는 영원성에 입각한다. 과거 현재 미래가 시간의 연속성에 놓인다. 이러한 초월적 정신 교감은 물질문명 아래 해체되어 가는 정신을 일깨우는 작용을 한다.
『사슴』에는 고향과 민속의 원형 공간 및 회상 공간이 주류를 이루고 추억 속에서 어려운 현실을 위안받으려는 퇴행심리가 작용한다.『사슴』의 시편들이 영상미가 빼어나다면『질마재 신화』의 공간은 설정한 가상의 공간에 골계미가 있고 연행적 요소가 나타난다.
두 시집의 공간에는 결핍들이 내재해 있다. 백석 시에서 가족구성원과 가난의 결핍요소들은 쓸쓸한 심정을 토로한다. 이러한 백석의 방법이 소극적이라면 서정주의 경우는 적극적이다. 풍요로운 여성성으로 대체하거나 자연과 인간, 삶과 죽음 등이 영원을 지향하는 것으로 묘사한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백석의 『사슴』과 서정주의 『질마재 신화』가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백석은 우리민족의 원형적 모습과 고향의 정서를 회복하려 하였고 서정주 역시 초월적 차원에서 무너져가는 시대의 정서를 회복하려 한다.『사슴』의 작품들은 문체, 율격, 소재, 형태 면에서 우리민족의 원형과 모국어에 대한 애정을 간직한다.『질마재 신화』는 연행에 적합한 문체와 형식으로 시에서 멀어져가는 독자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인다. 두 시인의 이야기성은 창작방법의 다양화측면에서 부각되며, 한자어가 아닌 순수한 방언, 토속어의 다채로운 시적 활용은 시어의 확대를 가져와 미학적인 기능을 한다.『사슴』은 뛰어난 이미지의 형상화에 의해 사진이나 회화 장르와 연결되며 『질마재 신화』는 다양한 화자의 변주를 통해 연극과 호환이 된다. 이렇게 두 시집은 각각 회화와 연극 등의 타장르와 접목되는 계기를 제공하여 한정된 시문학에서 벗어나 영역을 확장했다. 이는 디지털 시대 담론과 융화된다.
Alternative Abstract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story, vocabulary, time and space in 『Deer』by Baek Seok and 『Jilmajae Myth』by Seo Jeongju, both of which show characteristics of descriptive poetry. Comparative study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nables in-depth study in which information that couldn't be found in the text can be identified.
The followings have been discussed so far:
Chapter II compares how 'the stories', as narrative poems, are reflected in the poems. Subject matters of Baek Seok's poetry are mostly from experiences: names of blood relations, food and plays, repeated in modernistic way, reflect family togetherness and folkways. Poetry by Seo Jeongju use written tales or tales by word of mouth; his poems are satiric, humorous and grotesque. His poetry delivers lessons through forbidden events and characters.
『Deer』shows a family through the eyes of a young narrator, like a fairy tale despite the time of poverty in reality in 1930s. Tone of the young narrator's description leads to folk world and represents nostalgia and reminiscence in childhood.『Jilmajae Myth』has many adult narrators leading the story with their strong voices. Vulgar, flawed and tabooed characters and events spout or sanctify the desire though the voices of many adult narrators. It shows stronger criticism toward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rampant materialism than Baek's work.
Chapter III compares and analyzes dialects and folk vocabularies. There are names of places in Pyeongan-do, imitative words, mimetic words and various sensual―visual, tactile and olfactory―words in Baek Seok's poetry. Through this, we could learn that the themes of his poetry are exploring hometown and source of oneself. In poetry of Seo Jeongju's, many elements of Jeonla-do dialect and Pansori can be found and various genres are mixed and combined. Unlike Baek, Seo boldly uses slangs and vulgar expressions in his poems to describe life of ordinary folks more vividly and ultimately communicate between everyday living and ideal world.
Also there is food in 'the room' and 'the yard'. To Baek, food is the object of longing intertwined with his memory; to Seo, it is excretion and purification. Seo's theory of circulation is that oppressed subject comes out and purification also takes place when food is excreted.
Chapter IV covers characteristics captured in the space and time. Poems in『Deer』are about memories and the past. There is a sense of adaptation to fate in the base. Seo's poems are about eternity. Past, present and future are aligned in one continuous line. Such transcendent psychological communication awakens the spirit in the process of being deconstructed by material civilization.
In『Deer』, archetypes of hometown and folk customs and the space of reminiscence are dominant and sense of regression for comfort from hard reality is in effect. While the space in『Deer』shows excellent visuals, the imaginative one in『Jilmajae Myth』contains humorous and performative elements.
There is shortage in the spaces of the two collections of poems. Baek's poems express dreary feelings against family members and poverty. While Baek's approach is passive, Seo's is positive: Seo replaces for full femininity or points eternity for nature and men, life and death.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on Baek's 『Deer』 and Seo's 『Jilmajae Myth 』, following analogy is possible in terms of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aek's attempt was to recover the originality of the nation and sensibility of hometown; Seo also tried to recover sensibility of the time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cendentally destroyed. Poems in『Deer』try to keep affection to the mother tongue in terms of style, rules, materials and format.『Jilmajae Myth』vigorously tries to attract readers getting away from poetry with proper style and format to performance. Story-telling of the two poets is emphasized in various aspects of creative methodology; use of various dialects and local terms instead of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extends the range of the words in poems providing aesthetic function.『Deer』is linked to photography and painting for its vivid description on imagery;『Jilmajae Myth 』is interchangeable with a play through variations of narration by many narrators. Both collections of poems provide a chance of combination with other genres including painting and play, extending the range beyond poetry. It also applies to discussion on digital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