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외적으로 친환경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건설 산업 측면에서도 친환경적인 생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건설폐기물 재활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무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현장조사결과 ‘건설현장’과 ‘폐기물 처리업체’에서 수행하고 있는 폐기물 처리과정 및 처리방안이 상호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지 못하여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써, ‘건설현장’과 ‘폐기물 처리업체(중간처리업체)’의 건설폐기물 처리과정 시 발생하는 방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광범위한 문헌조사를 통해 대표적인 건설폐기물 종류(폐 콘크리트, 폐 아스팔트, 폐 토사, 폐 벽돌, 폐합성수지, 폐목재)를 파악하였고, ‘건설현장’과 ‘폐기물 처리업체’를 대상으로 전문가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 개별 폐기물의 처리과정 조사를 통해서 폐기물 처리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문가 면담 결과로 파악된 저해요인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항목별 중요도를 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현행 건설폐기물 처리과정을 개선 및 개선된 처리과정의 현장 적용을 위한 현장 폐기물 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제안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업무 프로세스를 건설현장에 적용할 경우, 건설 폐기물 재활용 제품의 부가가치가 제고 될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과정의 효율설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Alternative Abstract
On account of increasing interest of substantiality in these day, it is needed to make an effort to establish an environmentally sustainable produc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works. Although practical affairs and researches are in progress to reduce and recycle construction wastes, as a result of a research, there are still obstructive factors on waste reduction and recycling which they don't interact efficiently between waste disposal process of the construction area and waste disposal company. As a plan to revitalize reduction and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s, this research focuses on finding obstructive factors and giving solutions to reduce and recycle construction wastes which comes from construction process and construction industries. To meet the needs of the research, firstly relatively significant construction wastes (concrete, soil, brick, block, asphalt, plastic, lumber) were identified. On site level interviews with management of disposal companies and construction sites were conducted as well, focusing on typical waste disposal process. Throughout this interviews, obstructive factors were conducted.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authors suggest an improved approach on disposal and recycling for construction waste by prioritizing the identified factors and ranking the importance level of each factor. And, by identifying factors obstructing reduction and recycle of construction wastes, this research suggests improved disposal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