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의 가중치 설정 및 모의 평가

Author(s)
염동우
Advisor
이규인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8-02
Language
kor
Keyword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지속가능성 평가지표평가 모델가중치모의 평가
Abstract
1990년대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이 등장한 이래로, 토지의 집약적 이용을 통한 경제성 향상과 시공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건설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지속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도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 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조사를 통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을 통해 가중치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평가지표의 배점 체계를 수립하여, 실질적으로 현재 지어진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에 적용해 봄으로써 평가모델의 개발을 진전시키는 데 있다. 연구의 범위는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평가지표는 선행 연구인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가능한 계획기준 설정 방향에 관한 연구(이규인외, 2006)에서 설정한 평가지표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설계 경험이 있는 국내 7개 설계사무소의 실무자 중 최소 1건 이상 초고층주거복합건축물을 설계한 경험이 있는 경력자를 대상으로 중요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보통(1점)부터 아주 중요함(7점)까지 7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이 결과로 평가지표 별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는 3단계의 지표 풀을 설정하였다. 수립된 가중치 지표 풀과 함께 선행 연구인 ‘지속가능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을 위한 계획기준설정 방향에 관한 연구(이규인, 2006)’에서 수립된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지속성을 위한 현실적 계획기준‘을 기본으로 하여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고 정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에 한해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평가지표의 배점 기준 체계를 수립하였다. 또한, 이를 국내 19개의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에 적용하여 현재의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해당 분야의 지속성 점수를 산정해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문가 중요도 조사를 통한 분석 결과, 전체 계획 지표의 평균값은 5.01점으로, 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는 비교적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지속성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해 본 결과 환경적 지속성이 5.74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사회적, 경제적 지속성 분야의 평균값도 모두 5.0이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지속성 분야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비교적 높다고 판단된다. 평가항목 별 중요도를 분석해 본 결과 실내 환경 분야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안전 및 재해예방, 에너지 이용, 토지이용, 교통 및 통신, 생태환경, 자원활용 및 재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문화, 자족성, 사회혼합 부문은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나타내어 이 항목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지표 별 중요도 분석의 결과는 토지이용 부문에서는 ‘건폐율’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었다. 교통 및 통신 분야에서는 ‘보행자 전용도로 조성여부’가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생태환경 부문에서는 ‘조경면적 비율’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실내 환경 분야에서는 ‘자연환기’에 대한 선호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에너지 이용 부문에서의 ‘에너지 절전형 냉난방 시스템 성능’과 ‘실내 CO2 배출량’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자원활용 및 재활용 분야의 경우 ‘우수활용비율’,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었다. 사회문화 분야의 ‘노약자/장애자를 고려한 설계(베리어 프리)’ 및 사회혼합 부문의 ‘가변형, 주문형 평면 적용’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자족성 분야의 ‘자족시설 비율’, 안전 및 재해예방 분야의 ‘피난 경로 및 대피공간 설계’가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중요도 점수에 따른 가중치 설정을 위해 지표를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지표 풀을 설정하였으며,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된 ‘상’그룹에 포함된 평가지표의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 건강, 안전 등과 관련된 평가지표가 다수 포함되었다. ‘중’그룹은 에너지 절약, 수자원을 중심으로 한 자원 순환 및 재활용, 사회문화 관련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나타낸 ‘하’그룹의 경우, 지구 및 지역 환경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지표들과 사회혼합, 자족성 관련 지표들이 포함되어 있어 이 분야의 의식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3) 지표 풀과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배점체계를 수립하고 이를 국내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계획 사례 중 19개를 선정하여 적용하였다. 배점체계를 통한 평가 결과 사례의 평균 평가 점수는 100점 만점에 최고 68.78점, 최저 54.88점의 득점 분포에 평균점은 61.22점으로 지속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개선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 지속성 평가지표의 가중치를 설정하고 평가점수체계를 수립하여 실제 건축물을 대상으로 모의 평가를 시행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초고층 주거복합 건축물의 지속성 평가모델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기반이 될 수 있으며, 향 후 추가보완연구를 통하여 실질적인 평가모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평가를 정량적인 지표에 만 한정한 점과 건축 전문가를 대상으로 만 중요도 조사를 실시한 점 등이 연구의 한계로 남아 향후 정성적인 지표에 대한 평가방법, 거주자 및 사회, 경제적 분야의 전문가 조사 등 다양한 의견조사가 과제로 남는다.
Alternative Abstract
Since 1990,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have been built. Construction of these buildings has increased with the improvement in economic efficiency by intensive land use and the advancement in construction abilities. Because of this, the increasing sustainability of buildings has gotten more attention, and assessment indicators for sustainability were established and used.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for developing the assessment method of sustainability for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level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for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The complexes were studied to set a foundation weight establishment for later study. The present study was researched on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 The assessment indicators for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were attained from this former study by Lee and Park(2006). Based on these indicators, the importance level was surveyed by field designers of seven architecture design companies, which have experience was with design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consists of a 7-point scale, importance level of indicators being analyzed, and three graded indicator groups established for giving weight. With the graded indicator groups and planing criteria for sustainable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which is from the former study,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lanning Criteria for sustainable Super High-rise residential Complexes'(Lee, 2006), scoring system of sustainable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were established. Also, with this scoring system, 19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in Korea were analyzed and scored to assess sustainabil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value for the total assessment indicators is 5.01, and it is considered an important level of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indicators recognized by design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sustainability area,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level with 5.74 points, and a mean value of social, economical sustainability above 5.0. Therefore, the recognition by designers about the importance level on the sustainability area is considered hig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assessment items indicates that indoor environment was considered important, and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energy use, land us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and resource using and recycling were too in declining order. The importance level of social culture, self-sufficiency, and social mix are considered less important, so it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designers on these items is low. The analysis results of assessment indicators show that the ‘building coverage’ in land us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pedestrian pathway plan’ attained high points, and ‘green area ratio’ in ecological environment is considered important. In indoor environment, the importance level of ‘natural ventilation’ got high points, and ‘energy saved heating/cooling system ability’ and 'amount of CO2 emission' in energy use were treated important. In resource using and recycling, ‘rainwater use ratio’ and 'food waste disposal facility' were considered important. ‘Design for weak and handicapped’ in social culture and ‘variable/order-made floor plan’ in social mix were analyzed important, and ‘self-sufficient facility ratio’ in self-sufficiency and ‘evacuation pathway and space plan’ in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are considered valuable. 2) To give a weight by importance level points, all indicators were distributed in three groups by points and indicators pool was established. In Group A, which considered importance level as high, it include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rea and economical sustainability area. In Group A, assessment indicators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that directly affects users were included. Group B contained indicators about energy saving and water resource such as resource using and recycling and social culture items. Group C, which showed the lowest importance level, includes indica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globally and locally, and also social mix and self-sufficiency related indicators, so recognition on these indicators needs to be improved. 3) With the graded indicator groups and former study results, scoring system of sustainable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were established, and 19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in Korea were analyzed and scored. As a results by the scoring system, the average score was 61.22 out of 100, the highest was 68.78, and the lowest was 54.88. It shows that sustainability is not well considered, so in needs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has significant meaning that it established weigh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and scoring system, and test scoring has been done to the real projects. The results can be a basement to establish the method of sustainability assessment model for super high rise residential complexes, and after supplement research, it can be used as a assessment model. However, the restriction of respondents to the architecture designers and restriction of assessment to the indicators for fixed quantity ar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Consequently, it needs to be considered that expanding to other fields such as academic or engineering companies, and assessment method for qualitative indicators are required to develop in further study.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7451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Architectu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