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장애 노인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시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이들을 위한 요양보호 지원 활동을 지속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적정 시설 및 서비스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2011년까지 공적 시설 충족률 70%를 목표로 전문요양시설을 포함한 요양시설 707개소를 확충할 계획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요양시설의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운영방식을 고려한 거주단위에 대하여 관찰조사 하였다.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양시설의 입지(도시-근교-교외)에 따라 시설의 종사자 인력수급과 근무자의 교대방식이 달라진다. 또한 종사자의 근무패턴은 거주단위계획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시설의 입지는 거주단위 계획에 영향을 미친다.
2) 시설의 운영방식이 다르면 이에 적합한 거주단위 운영방식이 필요하다. 노인전문요양시설은 장기적인 생활보조서비스를 제공하므로 기능적 서비스 제공방식보다는 팀별 서비스 제공방식이나 개인별 서비스 제공방식 또는 이 둘이 혼합된 형태를 사용한다. 따라서 노인들의 인지력, 생활보조원의 동선 등을 고려해 볼 때 환자가 그룹화되어 서비스를 받는 것이 유리하다. 향후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거주단위 계획시 소규모 단위로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3) 현재 무료노인전문요양시설의 입소절차를 국가가 주도하는 상황에서는 시설에 입소하는 노인의 상태가 상이하게 달라 고정된 시설의 공간내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시설의 계획시 공간의 융통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4) 모든 시설에서 문제노인을 위한 1인실과 임종을 앞둔 노인을 위한 호스피스 요양실의 필요성이 나타나 향후 시설의 계획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5) 시설의 운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각 거주단위 내 케어스테이션, 간이주방, 휴게실 등 생활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이 고려되어야 한다.
Alternative Abstract
Recently, owing to the introduction of an aging society, it is urgent to shape policies to cope with the old handicapped.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ppropriate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which can offer activities to care them continuously. Consequ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kes plans to increase the nursing home’s number to 707 including elderly care facility to meet 70 percents sufficiency of the public facilities by 20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 residential unit in contemplation of the operational system so as to proffer fundamental data on the plan for these elderly care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ove as follows:
1) The worker’s number and shift style in these facilities vary in accordance with the conditions of location.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has an effect on the plans for a residential unit.
2) If the operational system of the facilities are different, new one appropriate is necessary. Because the elderly care facilities provides a long livelihood assistance, we use more the primary care service method or team care service method or mixed style than the functional style. Therefore, it is more profitable to be served as classified patients. It shows that we need to plan a residential unit in small unit when we plan the elderly care facility’s residential unit in the future.
3) Now,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because the government controls the free elderly care facility’s admission process. That problem is hard to solve in the fixed space of facility because there are big differences among the senior. Therefore, we need to take a spatial flexibility into consideration when we plan the facility in the future.
4) With feeling keenly the necessity of a single sick room and hospice in all facilities, we need to them into consideration when we plan the facility in the future.
5) To manage the facility efficiently, facilities that can provide livelihood service just like a care-station, rest room, need to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