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장영양의 주입방법에 따른 설사발생 양상과 영양상태 비교
영양집중지원(nutrition support)은 중환자 관리에서 기본적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경장영양이 중환자에게 가장 우선되어야 할 영양집중지원 경로로 권장되고 있지만 경관급식을 공급받는 중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설사로 인하여 50% 이상에서 영양요구량이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영양불량은 합병증, 병원감염, 의료비, 재원일수, 사망률 증가를 초래하므로 경장영양에 대한 중환자의 적응력을 높여서 섭취열량은 증대시키고 궁극적으로 영양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섬유소가 혼합된 경장영양액을 간헐적 주입과 지속적 주입으로 공급하였을 때 설사발생 양상과 영양상태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병원 내과계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중 중증도 5군이면서 기계환기를 적용하고 입원 후 최초로 경관급식을 공급 받는 18세 이상 환자, 항균제를 사용한 자로 실험군 32명, 대조군 32명인 최종 6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섬유소가 혼합된 경장영양액을 실험군은 지속적 주입, 대조군은 간헐적 주입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경관급식 첫날부터 5일간 King's Stool Chart를 이용하여 설사발생 양상을 측정하였고, 경관급식 주입 전일과 주입 5일 후 다음 날에 자동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생리적 지표인 알부민, 헤모글로빈, 총임파구수를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08년 7월부터 2009년 5월 6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Chi-square test, Mann Whitney U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및 Repeated measures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실험군 32명, 대조군 32명 가운데 설사를 한 경우는 실험군 10명(31.3%), 대조군 9명(28.1%)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2. 설사를 한 두 군 간에 설사시작일과 설사지속일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주입방법에 따른 설사점수의 차이와 주입방법 및 시기에 따른 설사점수는 각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주입방법에 따른 대변빈도는 제1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189, p=.034) 주입방법에 따른 대변경도는 제4일(t=-2.563, p=.014)과 제5일(t=-2.225, p=.032)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일반적 특성인 성별, 연령, 진단명, 의식수준, 금식기간, 위관 크기, H₂수용체 길항제 사용 여부에 따른 설사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주입방법에 따른 영양상태의 변화는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관급식을 공급받는 중환자에서 설사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간헐적 주입방법과 섬유소가 혼합된 경장영양액을 사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주입방법에 따른 영양상태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추후 다양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중환자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또한 중환자에서 경장영양의 적응을 돕기 위해 다양하고 실제적인 방안들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주요 핵심어: 경장영양, 경관급식, 설사, 영양상태, 중환자
Alternative Abstract
Comparison of the incidence of diarrhea to nutrition status
related with enteral nutrition feeding method
Kim, Bo Hyeong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Enteral nutrition is recommended as a preferred method of nutrition support for the 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more than 50% of the nutritional requirement is not fulfilled due to diarrhea that frequently occurs in the critically ill patient who is dependent on tube feeding. This Study, which i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conducted under the application of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aims to compare the incidence of diarrhea and nutrition status when a dietary fiber enteral formula is fed intermittently and continuously to a critically ill patient.
In this study, 64 patients consisting of 32 patients from an experimental group and 32 patients from a control group were involved. These patients are the ones belonging to the severity score of 5, and 18 years old and above age group. These patients who have adopted mechanical ventilation and are being tube-fed with antibiotics for the first time after hospitalization are selected out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The dietary fiber enteral formula was continuously f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intermittently fed to the control group. For all the subject patients, the incidence of diarrhea were determined from Day 1 up to Day 5 since the time tube feeding began using King's Stool Chart, and the biochemical data including the count of serum albumin, hemoglobin, total lymphocyte count were checked using an automatic analyzer on the day before tube feeding and 5days after tube feeding. The data have been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2008 up to May 6, 2009, an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Mann Whitney U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with SPSS WIN 12.0 program.
The result of study can be outlined as follows;
1. From experimental group (32 patients) and control group (32 patients) involved in this study, the incidence of diarrhea in the experimental group (10; 31.3%) and the incidence of diarrhea in the control group (9; 28.1%)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2. For the date when diarrhea began and the elapsed period during which diarrhea occurred for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For the difference of diarrhea score according to the feeding method, and the diarrhea score according to its feeding method and period, i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4. For stool frequency related with the feeding metho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Day 1 (t=2.189 p=.034), while for stool consistency related with the feeding method, i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Day 4 (t=-2.563, p=.014) and Day 5 (t=-2.225, p=.032).
5. For the diarrhea score rel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diagnosis, mental status, period of fasting, nasogastric tube size, usage of H₂-receptor antagonists, i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6. For the change in nutrition status related with the feeding method, i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dopting the method of intermittent feeding of dietary fiber enteral formula for a tube-fed patient was confirmed as a method of reducing the incidence of diarrhea. The nutrition status related with the feeding method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However, it would be necessary to address the evaluation on nutrition status of a critically ill patient using measurement scales when conducting further studie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diversified and actual methods should be studied to help critically ill patients for adapting enteral nutrition.
Keywords: enteral nutrition, tube feeding, diarrhea, nutrition status, critically ill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