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관점의 「청산별곡」 감상 지도 방안

Author(s)
강지영
Advisor
고정희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7-02
Language
kor
Abstract
21세기는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방대한 지식의 범람과 변화가 촉발되는 시기이다. 따라서 수많은 정보의 범람 속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당연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을 찾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줄 아는 능력일 것이다. 이 같은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는 7차 교육과정이라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를 조직하여 자신의 인지구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교육의 흐름은 문학 교육에도 영향을 주어 그동안 이루어졌던 텍스트·교사 중심의 문학 교육을 종식시키고 구성주의 관점의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을 마련하게 된다. 구성주의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의 강조점은 학습자 활동을 통한 문학 감상으로 교사가 정해진 모범 답안을 제시하기보다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이나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활동을 강조한다. 이를 바탕으로 「청산별곡」의 감상 지도를 접근해 보면, 「청산별곡」은 작품만이 전할 뿐, 그에 대한 구체적 기록이 없기 때문에 학자들에 따라 그 견해가 달라,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인 문제작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작품이 지닌 해석의 다양성은 시각을 달리하면 정해진 답이 없기에 최근 문학 교육에서 요구하는 구성주의 관점의 학습자 중심 문학교육이 요구하는 가장 적합한 텍스트로써의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산별곡」을 지도하여야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는 그동안 해석의 다양성을 놓고 어떻게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것인가를 고민하던 차에 이를 위한 적절한 학습 방법을 찾게 되는 셈이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산별곡」이 지닌 해석의 다양성을 놓고 작자층을 중심으로 구성주의 관점의 학습자 중심 문학 교육이라는 입장에서 그에 대한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여 보았다. 그러나 그 방법과 절차가 복잡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것이 얼마나 이루어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 든다. 왜냐하면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6. 노래의 즐거움’은 대단원의 구성이 7차시를 전제로 구성되어 있으나 소단원으로 5가지의 작품을 설정하고 있어, 시간상의 제약이 예상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마련한 수업의 절차는 어디까지는 이상적 모델을 제시한 것이기에 이 같은 모든 과정과 절차를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사가 이 같은 수업 모형을 토대로 상황에 맞게 그 과정과 절차를 조정한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단계에 따른 구체적 전략 역시 상황에 따라 다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의 한계는 필자가 구성주의 교육 방법에 입각하여 마련한 「청산별곡」의 지도방안을 실제 수업진행을 통해 그것이 어떤 효과를 가졌는지 측정하여 보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 같은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청산별곡」의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가진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6326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