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 시민사회단체의 시민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평생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사회적 자본과 평생교육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평생교육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시민사회단체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시민사회단체에서 실시하는 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자본과 평생교육과의 유의미한 관계를 고찰하여 앞으로 평생교육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활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한 개념적 고찰과 프로그램 분석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 준거는 평생교육이 시민교육의 실시와 학습망의 형성을 통하여 사회적 자본의 형성에 기여하는 것과,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는 세 요소인 네트워크, 신뢰성, 시민적 참여가 평생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촉구하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한국 시민사회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유형화하여 그 비율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YMCA에서 실시하는 시민교육 프로그램들의 사회적 자본 비율은 시민적 참여, 네트워크, 신뢰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실련 도시대학에서 실시하는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자본 유형의 비율은 네트워크, 시민적 참여, 신뢰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실련 통일협회에서 실시하는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자본 비율은 네트워크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신뢰성과 시민적 참여는 같은 비율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통하여 시민사회단체 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의 범주 안에서 실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 활동은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소들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형성된 학습망은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도출해냈다. 이는 평생교육과 사회적 자본이 가치 지향적이고 관계중심적인 결합과 순환을 통하여 안정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다양한 유형의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수집과 질적 사례 연구가 필요하며, 한국 사회의 실정에 맞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측정 도구가 중요한 바,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 및 시민교육에 관한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도출해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