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교대근무 방법과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피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의 22개 소방서중 주간근무(비교대)를 포함한 현장 활동대원의 전체 2교대 근무를 하는 용산소방서와 전체 3교대 근무를 하는 강남소방서 소방공무원 전 직원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24일부터 9월 2일까지 10일 동안 구조화된 설문지 473부를 배부하고 403부를 회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들의 근무상황 변수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재직기간, 업무, 직급, 교대근무형태, 희망하는 근무형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와 근무상황, 교대근무형태, 건강관련행위,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피로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직급, 건강상태는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고, 직무요구, 조직체계, 직장문화는 피로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또한, 전반적 피로도와 일상생활 피로도, 상황적 피로는 부분적으로 음의영향과 양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근무상황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는 재직기간이 10~15년 미만인 사람이 5년 미만인 사람보다, 화재진압, 운전, 통신 등의 기타업무를 맡고 있는 사람이 행정 업무를 보는 사람보다, 직급이 소방교, 소방장인 사람이 소방사, 소방위 이상인 사람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왔으며 외근(2, 3교대) 근무자가 주간근무자(비교대)보다, 희망하는 근무형태가 외근(2, 3교대)인 사람이 주간근무자(비교대)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보였다.
소방공무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근무상황, 교대근무형태, 건강관련행위,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이 피로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소방공무원들의 직급이 높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피로도는 낮아지고, 직무요구와 조직체계, 직장문화에 대한 스트레스가 저위험군에 비해 피로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전반적 피로도와 일상생활 기능장애는 피로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같았으며, 상황적 피로는 위의 결과 중 조직체계를 제외한 보상부적절에서 스트레스가 저위험군에 비해 피로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피로가 주관적이지만 소방공무원의 업무특성과 관련된 피로 원인들을 인간공학적인 연구방법을 접목시켜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측면으로 연구해 볼 필요성이 있으며, 소방공무원의 피로도 저하를 위한 효과적인 건강관리를 위해 의료 복지 향상, 영양개선 등 국가적인 정책과 자금이 지원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개인별 신체리듬을 파악하고 근무형태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고려한 연구를 기초로 소방공무원에게 유용한 직무스트레스 및 피로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Alternativ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at effect fire officials' shift work and job stress on fatigue. For that, 473 structuraliz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 entire fire officials in Yongsan Fire Station including the field firemen working on a two-shift basis and daytime-only fire fighters, and the entire fire officials in Gangnam Fire Station where the whole field firemen work on a three-shift basis, out of 22 fire stations, for 10days from August 24, to September 2, 2009. 403 shee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llowing is the result of analysis.
First, as for the job stress difference according to subjects' variable of working situation, working period, duty, position, shift work type and desirable work type seemed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as for the effect the variables of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ing situation, shift work type, health-related behavior and job stress factor have on the sum of fatigue, position and physical condition seemed to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and job demand,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seeme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fatigue. Also overall fatigue, daily fatigue and situational fatigue seemed to have a partly negative and a partly positive effect.
As such, as for the job stress difference according to working situation, job stress seemed higher with people working for 10~15 years than people working below 5 years, people in charge of fire control, driving, communication and others than peopl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task, Sobanggyo and Sobangjang than Sobangsa and Sobangwi, shift workers(2nd or 3rd shift work) than daytime workers(non-shift work), and people whose desirable work type is shift work(2nd or 3rd shift work) than daytime workers(non-shift work).
As for the effect the variables of fire official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orking situation, shift work type, health-related behavior and job stress factor have on the sum of fatigue, the higher the position and the better the physical condition of fire officials is, the lower the fatigue becomes. It was found out that stress concerning job demand,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was higher compared to that of low danger group. Overall fatigue and daily dysfunction was the same as the effect on the sum of fatigue. It was found out that situational fatigue was higher than that of low danger group in the lack of reward except for the organizational system out of above results.
In conclusion, though fatigue is subjective on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t more concretely and objectively by grafting the cause of fatigue rela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ire officials' duty with ergonomic method of research. It seems that national policy and fund should be supported including improvement of medical welfare and improvement of nutrition to lower the fatigue of fire officials and to do health care efficiently. Also individual physical rhythm of fire officials should be grasped and an alternate program for job stress and fatigue useful for fire officials based on the research conside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rk type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apply it to practical affai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