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Subtitle
용인시 사례로
Alternative Title
Ryu Yong-Moo
Author(s)
류용무
Alternative Author(s)
Ryu Yong-Moo
Department
공공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9-02
Language
kor
Keyword
노인 삶의 질
Abstract
국 문 초 록 노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세계보건기구(WHO, 2000)에 따르면 수명의 질(質)이라고 할 수 있는 건강수명(DALE: disability adjusted life expectancy)에 관련한 통계를 발표했다. 건강수명은 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평균적 장애기간을 뺀 것으로 장수보다는 건강한 삶을 강조한 것이다. 따라서 보편화 되는 노년층의 규모와 비중 문제뿐만 아니라 길어진 노년기를 어떻게 사는가에 대한 삶의 질(quality of life)적인 차원까지 고려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특히 노인 삶의 특성, 성공적인 노화, 노인 삶의 질에 대한 연구로서 노년층의 삶을 성공적 노화로 이끌어 낼 수 있는 행복 증진에 관한 주관적, 객관적 영향요인 도출과 노인복지정책방향에 있어서 어떤 것들을 더 고려해야 할 사항인지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과 만족도 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건강상태, 경제수준, 자립 활동(ADL, IDAL), 가족(자녀)간 의사소통, 여가활동을 높게 인식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단일 차원이 아니라 주요 변인들과의 복잡한 상호관련이 깊은 점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과 관련된 노인복지는 예방적, 전문적 개입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노인의 건강은 개인 스스로는 물론, 사회적 역할 수행 및 사회관계 증진 등 인생 전반에 걸친 전환점으로서 직·간접적으로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므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노인건강에 대한 예방교육, 노인의 사회활동 시 안전(응급처치) 교육, 노화나 만성질환, 심신의 고통완화 등의 서비스가 필요하겠다. 이것은 노인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장기적인 일상생활 전반을 고려하여 평가해야하며 특히, 노인복지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 빈곤층 노인은 지역사회 관련기관들의 종합적인 협의체 형식으로 대책기구 및 노인전문의료기관 등의 거버넌스적 체계관리와 사례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노후대책은 있어도 은퇴준비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조기퇴직 등으로 의존적 삶이 더 길어진 상황에서 여생을 더욱 건전하고 생산적인 노인문화로 만들어 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노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이타적 시각을 지역사회시니어클럽 등의 노인(老人)에서 노인(勞人)으로 노년관의 인식홍보 및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겠다. 따라서 예비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년생활준비 마련과 노인개인의 특성에 맞는 역량 발전을 위한 각 분야별 전문가의 종합적 노인상담 개입은 정부지원 및 지역사회와 연계된 정책이 필요하겠다. 빈곤한 노인의 경우, 생계유지형 고용촉진과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경제적인 생활고를 없애고, 사회적 고립의 심리적 고통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제적으로 윤택하고 강건(强健)한 노인들은 은퇴 후 자원봉사나 사회적 기업 또는 노블레스 오블리주(noblesse oblige) 등 제2의 삶을 통한 노인사회의 품격 변화를 위한 여가 및 사회활동 전계가 필요하겠다. 셋째, 노인은 모든 측면에서 쇠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나이 듦에 따라 결정지능이 발달하는 완숙기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삶을 마무리하는 시기인 노년에 있어서도 마지막 종의 순간까지 타인에 의한 “살 만큼 살았다.”의 평가는 없어야만 한다. 인권적 생명의 존귀한 존재로서 자기결정권을 부여해야하며 가족·지역사회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겠다. 또한 노인 스스로의 관조(觀照), 선(禪), 영성, 자아통찰 등을 통한 긍정적인 자세는 삶의 수용과 개선을 위한 적절한 태도의 기조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라고 본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553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Public Affairs >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