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잦은곳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 연구 (공간분석기반 사고전이 연구를 중심으로)

Alternative Title
Ahn, Seong-Chae
Author(s)
안성채
Alternative Author(s)
Ahn, Seong-Chae
Advisor
최기주
Department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8-08
Language
kor
Keyword
사고전이(Accident Migration)지점기반 사고잦은곳(Point based Black Spot)개선사업(Safety Improvement Project)구간선정(Identification of Section)발생분포(Accident Distribution)
Abstract
현재 시행 중인 지점단위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은 매년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으나, 효율성 제고방안으로 제기되고 있는 구간단위 개선사업은 방법론에 있어 아직까지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개선사업 및 미개선사업 지점으로부터 사업 차년도 신규 사고잦은곳에 이르는 거리자료를 분석하여, 적정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고전이의 영향권과 연계하여 개선사업 구간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바, 국내외 사고잦은곳 개선사업 추진사례 및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에 수행한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를 검토하였다. 사고잦은곳 및 개선사업 현황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관련정보의 지리적 위치를 조사하였다. 획득된 공간분포를 통해 사고전이 영향을 검토하고 개선사업 시행 유무에 따른 효과 분석을 하였으며, 개선사업의 내역분석 및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의 구간길이 선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교차로 사고잦은곳 개선사업이 시행되었을 때 사업을 실시하지 않은 경우보다 약 2.1km 내에 인접해 있는 사고잦은곳의 사고발생확률을 더 높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1km를 사고전이의 영향권이라고 보았으며, 단일로에 대해서는 자료가 충분치 않아 사고전이에 대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현행 교차로 지점위주의 개선사업이나 교차로 위주의 사고기록에 의한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었다. 또한 도로규모별로 수행한 4차로 미만과 4차로 이상의 도로에 대해 각각 2.6km, 0.95km의 사고전이 영역을 탐색하였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정부의 일반국도 확장사업이 사고전이 측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할 수 있겠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개선사업의 구간선정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고정구간 2.1km와 범위구간 0.95~2.6km를 제안하였다.
Alternative Abstract
Even though the efficiency of point based black spot improvement project has been low, none of solid methodology, which is based on section not point, and is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substitute, has not been come up with yet. Thus, this research aims at proposing the adequate length of a hazardous section and a method to set segment length over which the project needs to be performed on rural highways by analyzing the distances from project-conducted sites to new black spots in the following year and distances between project needed but not conducted sites and new black spots in the following year.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of four groups of distances classified by types of road geometries at which black spots were loca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obability of being a new black spot near the project conducted intersection is higher than that of a non- conducted intersection within 2.1km, however, no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project types and distance distribution have been found. Based on those findings, a method to determine the target segment including adjacent black spots within 2.1 kilometers-range was proposed.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552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