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2학년도부터 실시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0학년 과학교과서 5종의 생물 영역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과서의 지면 수는 평균 297.2면으로 7차 교육과정의 지면수보다 줄었으며, 이는 주당 수업 시수의 축소와 학습 내용을 감축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의 반영이다.
학문 중심적인 학습 내용을 대폭 줄이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노력하였고 교과서마다 천연색의 다양한 그림이나 표, 읽을거리 등을 실어놓아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다. 또 STS 내용을 생물 전체 영역의 45%가량을 실음으로써 학생들의 창조적이고 다양한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Piel의 주제영역별 STS 내용 반영 비율은 ‘과학의 사회화’, ‘기술발달의 영향’, ‘환경문제와 천연자원’, ‘인간공학’, ‘에너지’, ‘인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구과학의 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는 ‘우주개발과 국방’에 관한 내용은 없었다. 교과서마다 큰 차이는 없었으며 종류에 따라 ‘기술발달의 영향’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도 있었다. 이는 과학과 기술의 발달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있는 현재의 실정을 반영하고 있었다.
활동영역별 STS 내용 반영 비율은 자료해석, 조사연구, 사례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장 활동이나 역할놀이는 없거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이는 교실이나 과학실에서 실현 가능한 다양한 탐구활동을 제시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조작을 바탕으로 과학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는 2002학년도부터 실시되고 있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10학년 과학교과서 5종의 생물 영역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교과서의 지면 수는 평균 297.2면으로 7차 교육과정의 지면수보다 줄었으며, 이는 주당 수업 시수의 축소와 학습 내용을 감축하는 제 7차 교육과정의 반영이다.
학문 중심적인 학습 내용을 대폭 줄이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노력하였고 교과서마다 천연색의 다양한 그림이나 표, 읽을거리 등을 실어놓아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다. 또 STS 내용을 생물 전체 영역의 45%가량을 실음으로써 학생들의 창조적이고 다양한 사고의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학생들의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Piel의 주제영역별 STS 내용 반영 비율은 ‘과학의 사회화’, ‘기술발달의 영향’, ‘환경문제와 천연자원’, ‘인간공학’, ‘에너지’, ‘인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구과학의 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는 ‘우주개발과 국방’에 관한 내용은 없었다. 교과서마다 큰 차이는 없었으며 종류에 따라 ‘기술발달의 영향’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도 있었다. 이는 과학과 기술의 발달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상호작용이 많아지고 있는 현재의 실정을 반영하고 있었다.
활동영역별 STS 내용 반영 비율은 자료해석, 조사연구, 사례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현장 활동이나 역할놀이는 없거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이는 교실이나 과학실에서 실현 가능한 다양한 탐구활동을 제시하여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조작을 바탕으로 과학 개념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