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이옥봉의 시 세계에서 드러나는 옥봉의 자아가 지니는 면모와 특징을 나눠보고, 이를 지도했을 때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서론에서는 연구대상으로 『가림세고』부록의 「옥봉집」을 중심으로 여러 시화집에 산재해 있는 옥봉 시를 비교하여 제시했다. 선행연구에서는 여성 한시 작가로서의 옥봉 문학사적 의의가 밝혀지지 못했고, 여성 한시의 교육적 의의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옥봉 문학을 통한 시적 화자형에 따른 교육적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옥봉은 충의로 이름 높은 이봉의 서녀로 태어나 조원의 소실이 되었고, 총명하고, 지혜로운 여성 시인이다.
Ⅱ장에서는 당대 계급 구별이 심한 결혼 풍습과 축첩제도, 안주인 교육으로 만족해야했던 여성교육과 관련된 여성 작가의 삶, 가정 범주에서 그친 여성한시의 특징과 당시의 평균적인 여성의 삶의 벗어나는 변모를 지니고 있었던 옥봉의 삶과 ‘가정’의 제재를 벗어난 범주와 장르를 지닌 옥봉 한시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옥봉 문학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 방법으로 시적 자아의 목소리에 따라 시를 분류하고, 성격을 탐구하는 방법을 채택했다. 옥봉 시 문학은 다양한 시적 자아의 목소리를 가지고 있다 사료되므로 여성화자형, 남성화자형, 중성화자형으로 크게 구분하였다. 여성화자형에서는 규정과 별한의 감정을 절제한 한시를 다루었으며, 남성화자형에서는 기존 여성 화자에게 볼 수 없는 우국과 충군의 사회적 자아의 목소리가 드러나는 시들을 다루었다. 또한 예술적 자아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시들을 중성화자형으로 분류하였다.
Ⅳ장에서는 옥봉 시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작자와 시적 화자사이의 ‘성의 교차’가 나타내는 작품속의 이해의 공통성, 삶의 보편성과 같은 서로 다른 처지의 이해로 나아갈 수 있는 목소리가 가진 의미 지도의 효과와 그리움과 외로움, 삶의 단면에 나타나는 정서 표출의 여성정감과 교육을 통해 이상적인 수업모델을 구안해 보았다.
결론에서는 옥봉 시의 성 정체성과 당풍적 특질, 시적 영향관계에 대한 문제는 차후로 돌리며, 옥봉의 삶과 자의식을 바탕으로 쓴 시를 화자형에 따라 분류하여 이해하고, 이에 따르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을 연구했다는 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