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경기도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퇴직준비 실태와 퇴직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고, 퇴직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퇴직준비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실증적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로는 퇴직의 의의, 퇴직에 대한 태도, 퇴직준비 교육 프로그램 이론을 관련 저서와 간행물, 학위논문 등을 바탕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로는 경기도 본청 및 시․군 소속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들의 퇴직준비 실태를 살펴본 결과, 공무원들은 정년퇴직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현 직장에서 56~58세에 퇴직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공무원이 가장 많았다. 퇴직 후의 진로와 생활에 대해 생각은 있으나 막연한 공무원이 가장 많았으며, 퇴직 후 생활에 있어 수입원의 불안정을 가장 부담스럽게 느꼈다. 퇴직 후 생활을 위해 현재 재산증식 활동을 가장 많이 준비하고 있었다.
둘째, 공무원의 퇴직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 공무원들은 기업체에 비해 공무원의 퇴직 전 준비교육과정 개설이 잘 되어 있지 않으며, 대부분의 공무원들이 공무원의 퇴직 전 교육과정 개설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공무원의 퇴직 전 교육과정 개설은 퇴직 후 새로운 출발을 위한 방향 설정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공무원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의 공무원들은 퇴직 전 교육과정이 개설될 경우 참여 의향이 있었다. 퇴직 교육은 5년 전부터 실시해야 가장 효과적이며, 교육기간은 5주 이상이 가장 적당하고, 1기당 교육생은 21~30명이 가장 적정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운영방식은 강의, 토론, 사례소개, 상담, 현장견학 및 해외연수가 가장 바람직하며, 효율적인 교과 운영을 위해 강의방법 편성 비중은 강의 40+토론 20+사례소개, 상담 20+현장견학 10+해외연수 10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육 프로그램 중에는 재산관리가 가장 필요하며, 퇴직 후의 생활설계, 건강 및 보건, 취미활동 및 여가, 재취업, 심리적 안정 순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교육 프로그램 중에는 퇴직 후의 생활설계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볼 때, 공무원들은 퇴직 전 교육과정 개설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높으므로 민간 사회교육원이나 직능단체별 연수원, 전문대학과 연계 실시가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퇴직 후 구직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하며, 퇴직 후 일자리 창출과 경력활용 면에서 관련 분야 직업과 연결시켜주거나 경력을 활용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여 활동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