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I(Perylene diimide)와 NDI(Naphthalene diimide) chromophore를 포함하는 새로운 플러렌 dyad ,triad, pentad형태의 전하이동 물질 합성과 특성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계광열-
dc.contributor.author김정훈-
dc.date.accessioned2018-11-08T07:00:27Z-
dc.date.available2018-11-08T07:00:27Z-
dc.date.issued2008-02-
dc.identifier.other6125-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4836-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2008. 2-
dc.description.abstract실리콘 프탈로시아닌 (Silicon Phthalocyanine ;SiPc) 을 중심으로 위, 아래의 수직방향으로 각각 두개의 NDI {Naphthalene-1,4:5,8-bis(dicarboximide)} 를 공유결합시키고, NDI의 말단 anhydride부분에 fulleropyrrolidine을 결합시킨 pentad구조의 화합물 31을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화합물의 발색단인 프탈로시아닌에서 광유발된 전자들이 NDI를 경유하여 전자받개인 플러렌으로 이동하는 전하분리 (charge-separation) 과정과 분리된 전자의 재결합(charge-recombination) 과정에 대한 광물리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본 그룹에서 최근 발표한 프탈로시아닌을 중심으로 위아래 수직방향에 플러렌이 연결된 C_(60) - SiPc - C_(60)의 triad분자시스템과 비교하여 전자주개와 전자받개의 거리를 더 길게 연장시키고 또한 연결분자는 환원되기 쉬운 NDI를 사용하여 전하이동에 있어서 복전자이동 (double electron transfer)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좀 더 빠른 전하분리와 느린 재결합을 유도하면 결과적으로 전자의 수명이 길어지고 그 결과 전하이동 효율이 더 높아질 것이라 예상하였으며, 이를 위해 C_(60) - NDI - SiPc - NDI - C_(60)의 pentad분자구조의 화합물 31을 합성하였다. 한편, 서브프탈로시아닌 (subphthalocyanine) 을 전자주개로 수직방향에 NDI와 플러렌이 차례로 연결된 triad구조의 분자를 합성하였다. 서브프탈로시아닌 발색단에서 광유발된 전자가 연결분자이며 첫번째 전자받개인 NDI를 경유하여 최종 전자받개인 플러렌으로 이동되고 다시 재결합되는 과정을 관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려 하였다. 합성된 화합물에 대해 1H-NMR, 13C-NMR, IR, 흡수 분광법 (UV/Vis) 과 순환 전류법 (cyclic voltammetry) 등을 통해 화합물의 분광학적 특성과 물리적 성질에 대한 정보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광여기 전하 이동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일중항 여기상태의 전자들이 전자받개의 전자끌어당김 효과 (electron withdrawing effect) 에 의해 이동되면서 형광 (fluorescence) 스펙트럼이 사라지거나 감소되는 원리를 이용한 PL-퀜칭(quenching) 측정 실험을 통해 프탈로시아닌 또는 서브프탈로시아닌 전자 주개로부터 수직으로 치환된 전자받개인 NDI와 플러렌으로 전하이동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Part Ⅰ.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ovel Perylene-3,4:9,10-bis (dicarboximide) (PDI)-Fullerene(C_(60)) Dyads Ⅰ. 서론 = 1 Ⅱ. 결과 및 고찰 = 26 1. 목표 화합물 1, 2, 3의 합성 = 26 1) N,N-(cyclohex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1,7-bis(N-pyrrolidinyl)-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1)의 합성 = 26 1-1) 합성계획 = 26 1-2) 1,7-dibromoperylene-3,4:9,10-tetracarboxydianhydride (4)의 합성 = 30 1-3) N-cyclohexyl-1,7-dibromo-perylene-3,4-dicarboxyanhydride-9,10-dicarboximide (5)의 합성 = 30 1-4) N,N-(cyclohexyl)-(4-hydroxymethylphenyl)-1,7-dibromo-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6)의 합성 = 31 1-5) N,N-(cyclohexyl)-(4-hydroxymethylphenyl)-1,7-bis(N-pyrrolidinyl)-3,4:9,10-bis(dicarboximide) (7)의 합성 = 31 1-6) N,N-(cyclohexyl)-(4-methanal-phenyl)-1,7-bis(N-pyrrolidinyl)-3,4:9,10-bis(dicarboximide) (8)의 합성 = 32 1-7) N-octyl-glycine (14)의 합성 = 32 1-8) 4-Nitrobenzaldehyde (15)의 합성 = 33 1-9) 4-Aminobenzaldehyde (16)의 합성 = 33 1-10) 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amine (17)의 합성 = 33 1-11) N,N-(cyclohex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1,7-bis(N-pyrrolidinyl)-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1)의 합성 = 35 2) N,N-(cyclohex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2)의 합성 = 36 2-1) 합성계획 = 36 2-2) N-cyclohexyl-perylene-3,4-dicarboxyanhydride-9,10-dicarboximide (11)의 합성 = 37 2-3) N,N-(cyclohexyl)-(4-hydroxymethylphenyl)-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12)의 합성 = 38 2-4) N,N-(cyclohexyl)-(4-methanal-phenyl)-perylene-3,4:9,10-bis(dicarboximide)(13)의 합성 = 38 2-5) N,N-(cyclohex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2)의 합성 = 39 3) N,N-(cyclohex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1,7-dicyano-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3)의 합성 = 40 3-1) 합성계획 = 40 3-2) N,N-(cyclohexyl)-(4-hydroxymethylphenyl)-1,7-dicyano-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9)의 합성 = 41 3-3) N,N-(cyclohexyl)-(4-methanal-phenyl)-1,7-dicyano-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10)의 합성 = 42 3-4) N,N-(cyclohex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1,7-dicyano-perylene-3,4:9,10-bis(dicarboximide) (3)의 합성 = 42 2. 분광학 분석결과 및 고찰 = 44 1) 1H-NMR 및 13C-NMR 에 대한 결과 및 고찰 = 44 1-1) 합성 된 화합물의 1H-NMR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 44 1-2) PDI 고리의 치환체에 따른 1H-NMR 스펙트럼 고찰 = 47 1-3) PDI의 imide에 연결된 치환체에 따른 1H-NMR 스펙트럼 고찰 = 48 1-4) 목표 화합물 1, 2, 3의 13C-NMR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 50 2) 흡수(UV/Vis)분광 스펙트럼의 고찰 = 51 2-1) 목표 화합물 1, 2, 3과 비교 화합물 8, 13, 10에 대한 각각의 흡수스펙트럼 비교 및 분석 = 53 2-2) 목표 화합물 1, 2, 3의 흡수 스펙트럼 분석 = 55 3) 화합물 1, 2, 3의 순환 전류법(cyclic voltammetry)에 대한 고찰 = 58 3-1) PDI 고리에 pyrrolidinyl이 치환된 화합물의 산화 / 환원 특징 = 60 3-2) PDI 고리에 nitryl이 치환된 화합물의 산화 / 환원 특징 = 61 3-3) 목표 화합물 1의 산화 / 환원 특징 = 62 3-4) 목표 화합물 2의 산화 / 환원 특징 = 64 3-5) 목표 화합물 3의 산화 / 환원 특징 = 65 3. 광 물리적 특성 규명 = 68 Ⅲ. 합성과정 = 72 Ⅳ. 참고문헌 = 84 Ⅴ.스펙트럼 = 92 Part 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ovel Silicon Phthalocyanine Pentads with Two Axially Substituted Naphthalene-1,4:5,8-bis(dicarboximide) (NDI)-Fullerene (C_(60)) and Subphthalocyanine-Naphthalene-1,4:5,8-bis(dicarboximide)-Fullerene (C_(60)) Triads = 112 Ⅰ. 서론 = 113 Ⅱ. 결과 및 고찰 = 124 1. 목표 화합물 31, 33 및 비교화합물 32, 34, 35의 합성 = 124 1) a-{ N-[4-(N-octyl-3,4-fullero-pyrrolidin-2-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N-(4-phenoxy)}2 siliconphthalocyanine (31)의 합성 = 124 1-1) 합성계획 = 124 1-2) N-(4-methoxyphenyl)-naphthalene-1,8-dicarboxyanhydride-4,5-dicarboximide (21)의 합성 = 126 1-3) N,N-(4-methoxyphenyl)-(4-hydroxymethylphen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22)의 합성 = 126 1-4) N,N-(4-methoxyphenyl)-(4-methanal-phen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23)의 합성 = 127 1-5) N,N-(4-methoxyphen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24)의 합성 = 127 1-6) N,N-(4-hydroxy)-4-(N-octyl-3,4-fullero-pyrrolidin-2-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25)의 합성 = 128 1-7) a-{ N-[4-(N-octyl-3,4-fullero-pyrrolidin-2-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N-(4-phenoxy)}2 siliconphthalocyanine (31)의 합성 = 129 2) a-[{ N-(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N-(4-phenoxy)]₂siliconphthalocyanine (32)의 합성 = 130 2-1) 합성계획 = 130 2-2) N-octyl-naphthalene-1,8-dicarboxyanhydride-4,5-dicarboximide (21)의 합성 = 131 2-3) N,N-(4-hydroxyphenyl)-(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28)의 합성 = 131 2-4) a-[{ N-(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N-(4-phenoxy)]₂siliconphthalocyanine (32)의 합성 = 132 3) {N-[4-(N-octyl-3,4-fullero-pyrrolidin-2-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N-(4-phenoxy)}[ subphthalocyaninato]boron(Ⅲ) (33)의 합성 = 133 3-1) 합성계획 = 133 3-2) Subphthalocyanine boron(Ⅲ) (26)의 합성 = 133 3-3) {N-[4-(N-octyl-3,4-fullero-pyrrolidin-2-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N-(4-phenoxy)}[ subphthalocyaninato]boron(Ⅲ) (33)의 합성 = 134 4) [N-(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 -N-(4-phenoxy)][subphthalocyaninato]boron(Ⅲ) (34)의 합성 = 135 4-1) 합성계획 = 135 4-2) [N-(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o) -N-(4-phenoxy)][subphthalocyaninato]boron(Ⅲ) (34)의 합성 = 135 5) N,N-(oct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35)의 합성 = 136 5-1) 합성계획 = 136 5-2) N,N-(4-hydroxymethylphenyl)-(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29)의 합성 = 137 5-3) N,N-(4-methanal-phenyl)-(oct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30)의 합성 = 138 5-4) N,N-(octyl)-[4-(N-octyl-3,4-fullero-pyrrolidin-2-yl)-phenyl]-naphthalene-1,8:4,5-bis(dicarboximide) (35)의 합성 = 138 2. 분광학 분석결과 및 고찰 = 139 1) ¹H-NMR 및 ^(13)C-NMR 에 대한 결과 및 고찰 = 139 1-1) 합성 된 화합물의 ¹H-NMR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 139 1-2) 화합물 31, 32, 35의 ¹H-NMR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 142 1-3) 화합물 32, 33의 ¹H-NMR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 143 1-4) 목표 화합물 1, 2, 3의 ^(13)C-NMR 스펙트럼에 대한 고찰 = 144 2) 흡수(UV/Vis)분광 스펙트럼의 고찰 = 145 2-1) 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한 화합물 31,32에 대한 흡수스펙트럼 분석 = 146 2-2) 서브프탈로시아닌을 포함한 화합물 33,34에 대한 흡수스펙트럼 분석 = 148 3) 화합물 31, 32, 33, 34, 35의 순환 전류법(cyclic voltammetry)에 대한 고찰 = 150 3-1) 화합물 31, 32의 산화 / 환원 특징 = 152 3-2) 화합물 33, 34의 산화 / 환원 특징 = 155 3. 광 물리적 특성 규명 = 158 Ⅲ. 합성과정 = 166 Ⅳ. 참고문헌 = 177 Ⅴ.스펙트럼 = 18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PDI(Perylene diimide)와 NDI(Naphthalene diimide) chromophore를 포함하는 새로운 플러렌 dyad ,triad, pentad형태의 전하이동 물질 합성과 특성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dc.date.awarded2008.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566600-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6125-
dc.subject.keyword전하이동-
dc.subject.keywordPerylene diimide-
dc.subject.keywordNaphthalene diimide-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olecular Science and Techn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