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일반사회에 통합되어 정상인들과 함께 더불어 생활하며 양질의 삶을 영위하게 되는 것이 장애인의 가장 바람직한 바람이라고 볼 때 장애인들을 어릴 때부터 분리하여 교육하게 되면 나중에는 사회 적응 면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고 일반학생들 역시 특수요구학생을 이해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부터 통합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통합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교조직을 질적 관리체제로 전환하여 협력적 팀이 특별위원회를 운영하는 새로운 접근을 필요로 하며, 통합교육을 실행함에 있어 문제점으로는 특수요구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부정적인 태도와 특수요구학생의 부적절한 사회적 기술, 특수요구학생에 대한 일반교사의 부정적인 태도, 특수요구학생에 대한 일반교사의 교수기술의 부적절성 등을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경하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이루기 위해서는 통합교사의 역할과 태도가 중요하다.
그러나 교사의 태도와 관련된 우리나라의 선행 연구들을 보면, 대부분이 현직 일반교육, 특수교육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미래에 장애아 통합교육을 짊어지고 갈 예비교사, 특히 현재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에 배치될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조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및 태도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통합교육에 있어서 일반교사와 예비교사의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및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교육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내용 누구의 것 발문) 경기도내 수원, 용인, 안산 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에서 8개의 학교을 임으로 선정하여 일반교사 300명과 현재 경인교육대학교와 춘전교육대학교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300명에게 본 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자료의 내용을 담은 설문지를 직접적, 간접적으로 제시하여 일반교사들과 예비교사들 자신들이 직접 반응을 나타내도록 하고 이를 종합 분석하여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일반교사 276부, 예비교사 270부로 모든 문항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으로 부적합한 자료 3부를 제외한 일반교사용 274부와 예비교사용 269부가 최종분석 자료료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예비교사들의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전반적인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통합교육 하위 영역별 ‘통합의 개념’, ‘교사의 전문성’, ‘학업적 기대’, ‘통합교육의 성공요인’,‘행동적 기대’, ‘교과과정 및 교수방법’, ‘생활지도 측면’, ‘교육 환경적 측면’의 8가지 영역에 대해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예비교사 집단 모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선행연구(장보원,2000; Graham, Husdon & Burdge, 1980)과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최근 통합교육에 대해서 일반학교 교사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특수교육 관련 연수나 교육대학교에서 특수교육과 관련된 과목을 이수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해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대체적으로 교사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선행연구(김정현,1996; 김명희,1992)와 일치하지 않았다. 또 대체적으로 경력에 따른 교사들의 통합교육의 인식은 대체로 경력이 적은 교사집단이 경력이 많은 교사집단보다 통합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였다는(신진숙,1998)의 선행연구와도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최근에 급격한 속도로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이해와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특수요구학생의 통합학급에서 학업 성취에 대해 일반교사집단과 예비교사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로 분석이 되었다. 이는 일반교사집단에 비해 특수요구학생과 접할 기회가 적은 예비교사집단이 특수요구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통합학급에서 일반교사집단과 예비교사집단 모두 특수요구학생으로 인한 교사의 생활지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교사의 교수 방법의 변화나 보조 교사제의 활용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통합학급에서 비장애아동이 장애아동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통합학급에서 교사의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통합교육의 환경에 대해서 일반교사집단과 예비교사집단간에 의미 있는 차이로 분석되었으나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반응으로 분석되었다. 먼저 정책적으로 재정이 확보되어야 하고, 교육환경개선이 우선되어져야 하며 통합교육환경이 장애아동의 정서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리고 통합교육은 장애아동의 사회적응능력을 갖추는데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긴밀한 상호협력을 통해서 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에서 두 교사집단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