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자 유형 분류를 통한 시 교육 방법 연구

Subtitle
고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Alternative Title
You Ho Sun
Author(s)
유호선
Alternative Author(s)
You Ho Sun
Advisor
조창환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09-02
Language
kor
Keyword
시 교육시적 화자화자 유형
Abstract
화자 논의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화자 유형을 분류해 보았다. 본고에서 분류한 화자 유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에서 화자가 표면에 드러나 있는가 또는 드러나 있지 않은가의 대립 구조를 설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하위 유형을 선정했다. 작품의 표면에 화자가 나타나는 ‘현상적 화자’와 작품의 표면에 나타나지 않는 ‘함축적 화자’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현상적 화자’에는 시인이 일부러 만들어낸 완전히 허구적 인물로서 시 전체를 지배하는 ‘허구적 주체로서의 화자’가 있고, 시인의 의식과 비슷한 ‘시인 지향적 화자’가 있고, 시 속에서 발언하는 인물이면서도 시 전체를 지배하는 주체라기보다는 오히려 관찰의 대상이 되는 인물, 즉 ‘허구적 객체로서의 화자’가 있다고 분류할 수 있다. 허구적 주체로서의 화자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여성 화자’와 ‘남성 화자’, ‘어린이 화자’와 ‘어린이 화자와 성인 화자의 혼재’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함축적 화자’에는 화자가 대상이나 상황을 객관적으로 드러내는 ‘관찰자적 화자’와 화자가 사물이나 행위의 이미지, 형태, 메시지를 제시만 하는 경우의 ‘제시자적 화자’가 있겠다. ‘관찰자적 화자’에는 자신의 의도를 품고 있는 ‘자아개입적 화자’와 감정의 노출 없이 대상을 객관적으로 묘사하는 ‘묘사적 화자’와 특정한 상황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설명적 화자’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제시자적 화자’에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즘의 화자’, 형태를 중심으로 보여주는 ‘형태 제시의 화자’, 상황의 내용을 요약하여 메시지로 전달하는 ‘메시지 제시의 화자’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분류한 화자 유형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본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본문에 수록된 현대시 작품을 대상으로 화자의 유형 분류와 관련한 수업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국어 상 교과서 6단원 ‘노래의 아름다움’단원 본문에 실린 김소월의 「진달래꽃」, 정지용의 「유리창」, 이육사의 「광야」를 중심으로 하였다. 10학년 전 과정에서 교과서 본문에 수록된 현대시 작품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화자를 이용한 접근 방법으로 첫째는 상호 텍스트성과 관련하여 다른 시 텍스트들을 교사와 학습자들이 공동으로 찾아보고 작품 간의 비교 및 대조 등을 통해 작품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때 교사는 시범으로 몇 가지 텍스트를 제시하고, 학습자는 개인 또는 모둠 활동을 통하여 이를 연습할 수 있다. 둘째는 창작 과정으로서 학습자가 직접 개작 또는 모작을 통해 시를 창작해 보는 것이다. 이 과정은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기 보다는 학습자가 화자를 바꾸어 표현해 봄으로써 시인이 이러한 화자를 선정한 목적과 화자를 통한 시적 표현의 효과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는 화자를 바꾼 후에 시의 분위기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스스로 탐구하면서 시에서의 화자를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자신과 다른 가면을 지닌 화자 즉, 자신과 다른 성을 가진 인물이나 다른 연령의 인물, 또는 동물이나 식물의 화자로 시를 표현하면서 자연스럽게 내면화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화자와 관련한 수업의 실제적인 모습을 보이기 위하여 정지용의 시 「유리창」의 학습지도안과 PPT화면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학생들의 학습 결과물도 함께 제시하여 이해를 도왔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4559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