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생활은 성인의 삶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회적 행위이며,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것 뿐 아니라 개인의 자아를 실현하게 한다는 기능을 제공한다(Gini, 2000). 특히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문제는 중요한 의사결정으로 언급된다. 직업 흥미를 다룬 다양한 이론들 중 가장 활용도가 뛰어나고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론은 Holland(1959)의 ‘직업 성격과 선택 이론’인데, 이는 수많은 흥미 검사들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일반적으로 직업흥미 검사는 행동선호, 효능감, 가치관 등을 통해 개인의 태도를 측정하고, 다양한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타인들이 나 자신에 대해 갖게 될 인상을 관리하고자 하는 마음을 지니기 때문에, 직업 선택이 사회적이고 맥락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집합주의적 특성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직업 선택의 문제는 자신의 사회적 체면을 충족시키고, 사회적 성공을 달성하며, 사회적 명성을 얻고자 하는 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은 가장 선호하는 직업을 갖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때 자신에게 덜 적합하지만 현실적으로 가질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 타협 과정을 경험하게 되는데, 개인의 타협 수준에 따라 명성과 흥미의 차원에 대한 중요성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흥미 검사 내에서 개별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하는 직업선호도 척도는 개인의 흥미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직업의 명성 수준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들을 검증하기 위해 예비 연구와 2개의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에서는 첫째, Holland의 여섯 가지 유형에 해당하는 106개의 직업들에 대해 대학생들의 선호도 수준과 명성 지각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여섯 개의 흥미 유형 전체에서 직업에 대한 명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직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 흥미 검사에서 직업 선호도 척도와 활동 선호 척도가 흥미 유형을 예측하는 상대적인 결정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이 스스로 판단한 직업흥미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직업선호도 척도의 기여도와 직업태도 척도의 기여도는 서로 다르게 나타나며, 전반적으로 직업명 척도에 비해 태도 척도가 더 높은 결정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1에서는 직업 선택시 명성이 자신에게 얼마나 중요한지를 측정할 명성 가치 척도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9문항으로 이루어진 직업 명성 가치 척도를 구성하였으며, 적절한 수준의 설명량과 내적합치도 계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2에서는 직업선호도에 대한 명시적 측정과 암묵적 측정이 어떤 관계가 있고, 개인의 명성 중요 수준과 타협 수준이 직업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예비 연구 결과로 나타난 직업의 명성과 선호도 수준을 토대로 선별된 8개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 암묵적 선호도와 명시적 선호도의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협 수준 및 명성 중요 가치 수준을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8개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했을 때, 명시적 측정시 일부 직업들에서 직업 선호도의 집단 차이가 나타났고 암묵적 측정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암묵적 측정의 시행을 줄여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은 단축형 암묵적 연합검사를 통해 표준적인 암묵적 측정 형태와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명시적 선호도 측정과 암묵적 선호도 측정의 상관계수는 연구 2-2보다 다소 낮은 .10~.31사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묵적 측정과는 달리 명시적 형태의 직업 선호도 측정시 직업에 내포된 사회적 명성이 개입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직업 선호도 측정 장면에서 암묵적 측정이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