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성 폴리아닐린 유도체의 광응답 특성 연구

Author(s)
정성길
Advisor
권오필
Department
일반대학원 재료공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3-08
Language
kor
Keyword
conducting polymerpolyanilin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닐린의 광응답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고, 또한 폴리아닐린의 곁가지에 폴리아닐린의 흡광영역과 겹치지 않는 흡광영역을 가지면서 특정 파장의 빛에 의하여 이성질체를 가지는 물질을 달아주어 특성변화를 관찰하였다. 폴리아닐린의 경우 SSDP(self-stabilized dispersion polymer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중합하였다. 또한 폴리아닐린 유도체는 폴리아닐린의 단량체인 아닐린에 감광성 물질인 Disperse red-1을 부착시킨 변형단량체 DBAP compound 4 (2-(4-(2-(ethyl(4-((4-nitrophenyl)diazenyl)phenyl)amino)ethoxy)butoxy)benzenaminium chloride)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닐린과 공중합을 하였다. 공중합 방법으로는 SSDP (self-stabilized dispersion polymeriza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고분자를 PANI-DBAP로 명하였고, PANI와 PANI-DBAP의 기본적인 물성인 열적 안정성, UV-Vis-NIR 흡수 스펙트럼, 결정화도, 등을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UV-Vis-NIR spectroscopy, X-ray defraction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특정 파장의 빛에 반응하여 저항, 전압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필름형태로 만들어 사용하였기 때문에 필름의 형태도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폴리아닐린과 폴리아닐린 유도체인 PANI-DBAP는 전도도의 경우 폴리아닐린은 307S/cm PANI-DBAP의 경우 20S/cm로 나타났으며, 전극을 이용하여 광응답 특성 관찰 결과 전체적인 광응답성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폴리아닐린 유사체의 경우 저항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고, 광전도성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곁가지에 달아 준 Disperse red-1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3315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Material Engineer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