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건교사의 아동에 대한 공감수준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정도와 관계를 분석하여 보건교사에 대한 이해를 돕고 내적 동기를 자극하며, 보건교사의 질적 향상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내 소재한 3개 시에 정규보건교사로 근무하는 362명의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공감수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무응답과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182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연구문제 분석에 앞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척도에 대한 보건교사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다음으로 교직경력과 상담연수경력에 따른 보건교사의 공감수준,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단순회귀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보건교사의 공감수준,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대한 상관분석과 보건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수준의 하위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건교사의 교직경력과 상담연수경력이 보건교사의 공감수준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검정 결과 교직경력은 공감수준의 하위요인의 인지적 요소와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수업효능감, 그리고 직무만족도 하위요인의 보상체계와 인정지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연수경력은 공감수준과 수업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전문성 신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건교사의 공감수준과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검정 결과 보건교사의 공감수준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건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감수준의 하위요인을 알아본 결과, 공감수준의 하위요인 중 인지적 요소와 정서적 요소는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주며,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Rogers의 상담자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 볼 때, 보건교사의 아동에 대한 공감수준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상호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으며, 공감수준의 하위요인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에 대한 보건교사의 공감수준 향상은 보건교사효능감이나 직무만족도의 상승으로 연계될 수 있으므로, 공감수준 향상을 위한 개인의 노력이나 훈련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