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컨설팅에 대한 요구 조사를 토대로 수업컨설팅의 효과 및 지원 과제를 모색하여 교육력 제고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수업컨설팅의 이론적 기초로서 선행 연구 자료와 관련 문헌 자료를 조사․분석하였고, 연구 내용은 수업컨설팅의 운영 문제, 수업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경험 정도와 참여 요구, 수업컨설턴트 활동 및 자격 요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정도, 수업컨설팅의 효과와 수업컨설팅에 지원되어야 할 과제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시흥시, 용인시, 군포시 소재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임의 표집하여 780명을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 자료는 SPSS WIN(ver18.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조사 대상자의 일반 특성 및 인식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수업컨설팅 요구가 개인 배경 변인에 따라 집단별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지 살펴보기 위해 (Chi-Square Test)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의 유의수준(p)은 .05 수준 이하에서 해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수업컨설팅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조사 결과, 수업컨설팅 경험 정도는 25% 수준으로 낮으나, 수업컨설팅 의뢰 희망은 62.8%로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이 수업컨설팅 의뢰를 희망하는 주된 이유는 교수․학습활동에 대한 전문성 신장의 필요성과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다양한 수업 자료 지원에 대한 요구의 증가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컨설팅 영역으로는 수업 운영 및 상황 대처 능력, 교재 및 자료 활용 능력과 교육과정 이해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컨설턴트 활동과 수업컨설턴트 자격에 대한 인식에 관하여 조사 결과, 수업컨설턴트로 활동한 경험 정도는 8.4%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며, 수업컨설턴트로 활동하기를 희망하는 정도는 26.9%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활동하지 않은 주된 이유로 수업컨설턴트로 활동할 기회 부족, 수업컨설턴트에 대한 전문 지식 및 경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수업컨설턴트 대상은 동료교사, 수석교사, 학교컨설팅 전문가 순이었으며, 수업컨설턴트의 자격 요건으로 교과에 대한 전문 지식과 경험 보유와 의뢰 교사에 대한 이해와 공감 능력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컨설턴트 자격인증 체제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자격인증 방안으로 양성과정을 이수하고 일정 자격요건을 갖춘 사람에게 자격을 인증하는 방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컨설팅 운영 문제에 관하여 운영 방법 및 대상을 조사 결과, 수업컨설팅 운영은 학교 자체적으로 수요가 있을 때마다 실시하는 방안을 선호했으며, 수업컨설팅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집단은 초임 교사 및 경력이 낮은 교사들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경력이 낮을수록 경기도교육청에서 실시하는 내용교수법(PCK)을 활용한 수업컨설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컨설팅의 효과 및 지원 과제에 관하여 조사 결과, 수업컨설팅을 활성화 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긍정적인 효과로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 및 동료교사를 존중하고 대화하는 학교문화 형성으로 나타났다. 수업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과제는 수석교사를 수업컨설턴트로 활용, 수업컨설턴트의 수업 시수 축소하는 방안, 수업컨설팅 의뢰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하는 방안 등으로 전문성을 갖춘 수업컨설턴트 확보와 수업컨설턴트로 활동할 수 있는 일정한 시간 보장, 수업컨설팅 홍보 및 연수 기회 확대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장에서 수업컨설턴트로 선호하는 수업컨설턴트 대상은 동료교사, 수석교사 순으로 나타난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장의 우수교사와 수석교사가 수업컨설턴트가 될 수 있는 경로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턴트 자격 인증을 위한 제도 마련을 제언한다.
둘째,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 및 수업컨설팅 요구가 높으므로 초임교사를 위한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우선적으로 개발하여 지원하는 방안을 제언한다. 아울러, 수업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경력 교사의 맞춤형 직무 연수 프로그램 연구 추진도 제언한다.
셋째, 수업컨설팅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나 수업컨설팅 시수 확보 등 지원 체제가 구축되더라도 수업컨설팅을 할 수 있는 제약이 많으므로 전문적으로 수업컨설팅을 담당하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대학 및 연구기관, 학술단체의 지원 체제 마련과 수업컨설팅 전용 홈페이지 구축을 제언한다.
넷째, 현직 교사뿐 아니라 예비 교사에 대한 수업컨설팅의 소개와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 연구 추진을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