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기반으로 설계한 영어 수업모형(English Instruction Model based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EIMSS)의 적용이 L2 학습자의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을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파악하고 각각의 구성요인의 하위전략을 기반으로 영어 수업모형을 설계하였고, 이를 영어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기반으로 설계한 영어 수업모형을 학교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학습자의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능력의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고, 영어 학습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태도 및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을 위해 경기도의 한 외국어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영어시험인 TOEIC 기출문항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읽기 영역과 듣기 영역의 동질집단(p = .188, p = .511)으로 나타난 2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자기조절학습 전략 기반 영어 수업모형(EIMSS)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교사의 설명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총 32주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의 4가지 영역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실험 참여 학생들이 수업에 대해 갖는 태도 및 인식의 변화를 정성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이 실험 수업에 대해 느끼는 점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개방형 설문을 총 4차에 걸쳐 실시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의 인식이 잘 드러나지 않을 경우 학습자와의 개별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전사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분석적 귀납 방법을 활용하여 규칙성을 찾고 유의미한 내용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IMSS 모형은 영어의 이해 능력인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 및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듣기 능력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고(p = .019), 실험집단 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16). 읽기 능력은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 = .499). 반면에 집단 내의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했을 때에는 실험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p = .007), 통제집단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390). 이러한 결과는 EIMSS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의 향상에도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험이 더 장기적으로 진행된다면 집단 간 비교에서도 읽기 능력에 대한 EIMSS 모형의 효과가 더 명시적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EIMSS 모형은 표현 능력인 영어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지만,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 능력과 관련해서는 집단 간, 그리고 집단 내에서도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21, p = .000). 그러나 쓰기 능력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찾을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EIMSS 모형의 효과성을 탐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EIMSS 모형의 적용이 학습자의 영어 듣기, 읽기,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성을 나타내었으므로 더 장기간에 걸친 수업을 진행한다면 결국 쓰기 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셋째, EIMSS 모형은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및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응답에서 부정적인 범주와 긍정적인 범주로 구분할 수 있는 키워드가 추출되었다. 부정적인 범주의 키워드가 발생한 원인은 학습자들이 학교 수업에 대해 지니고 있는 선입견과 자기조절학습의 학습자 중심적 학습 과정이 서로 상충되었기 때문이었다. 즉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에 익숙하였기 때문에 학습자가 수업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EIMSS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 부정적인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이 진행될수록 부정적인 범주에 속하는 키워드는 감소하는 경향을, 긍정적 범주에 속하는 키워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EIMSS 모형이 학습자의 태도 및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수업모형이라는 결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EIMSS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 대해 소수의 학습자에게 부정적인 태도 및 인식이 연구의 마지막까지 유지되는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러한 부정적인 인식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소는 ‘시험불안의 해소 경험’의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활용한 영어 수업모형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수업이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수업’이라는 학습자들의 잘못된 인식을 바꾸기 위한 사전 교육이 필요하며 학습자의 동기요인인 시험불안을 통제하기 위한 노력이 수업 설계 및 적용에 반영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