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상황에서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 영향요인

Author(s)
양주영
Advisor
송주은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2-08
Language
kor
Keyword
노인사회적 관계망우울자기효능감치매치매관리치매예방행위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망, 우울, 치매관리 자기효능감, 치매예방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치매예방행위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3개 시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들로 총 141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7일부터 12월 12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본 연구 도구로 치매예방행위는 이영휘 등(2009)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관계망은 Lubben와 Gironda(2003)이 개발한 도구를 김용석(2020)이 번역한 도구로, 우울은 Sheikh와 Yesavage(1986)이 개발하고 기백석(1996)이 한국형으로 표준화한 도구(GDSSF-K)로 측정하였고, 치매관리 자기효능감은 임경춘 등(2021)에서 사용된 도구로 치매예방관리에 맞추어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상관관계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 정도는 총 90점 만점 중 평균은 38.64±14.40점이었으며, 하위영역으로는 가족(친척) 관계망 평균은 13.91±5.53점, 친구 관계망 평균은 13.62±5.24점, 이웃 관계망 평균은 11.11±6.72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우울 정도는 총 15점 만점 중 평균은 3.55±3.32점이었다, 우울을 중증도에 따라 정상군과 경증군, 중증군 분류하여 빈도분석을 한 결과, 정상군은 94명(66.6%), 경증군은 38명(27%), 중증군은 9명(6.4%)이었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관리 자기효능감 정도는 총 10점 만점 중 평균은 7.11±2.38점이었고,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 정도는 총 36점 만점 중 평균 28.66±3.81점으로 나타났다. 2.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예방행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t=-2.72, p=.007), 종교(t=2.67, p=.009), 주관적 건강상태(F=7.93, p=<.001), 치매교육유무(t=0.99, p=.00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와 사회적 관계망(r=.376, p<.001)과 치매관리 자기효능감(r=.415, p<.001)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매예방행위와 우울(r=-.469, p<.001)은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1단계에서 종교, 주관적 건강상태는 치매예방행위를 16% 설명하였으며, 2단계로 사회적 관계망, 우울, 치매관리 효능감을 추가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연령(β=.14, p=.044), 종교(β=.16, p=.023), 사회적 관계망(β=.19, p=.011), 우울(β=-.27, p=.002), 치매관리 자기효능감(β=.24, p=.003)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은 치매예방행위를 36% 설명하였다. 따라서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상황에서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 관계망을 높이며 우울 고위험군 및 전체 노인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치매를 예방관리 할 수 있다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치매예방행위 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lternative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factors influencing dementia-preventive behaviors in older Korean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during the COVID-19 pandamic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programs. One hundred and forty-one community-dwelling older Korean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nd date were collected between November 27 and December 12, 2021. Assessment tools were Lubben social network scale-18 developed by Lubben and Gironda (2003)- translated into Korean by Kim (2020) ,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form developed by Sheikh and Yesavage (1986)- translated Korea version by Ki (1996), dementia management self-efficacy scale used by Lim et al. (2021), an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scale developed by Lee et al. (2009). Using SPSS WIN 25.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ocial networks was 38.64±14.40 (total score: 90). Additionally, the mean score of individuals in the family relatives group was 13.91±5.53; friends group, 13.62±5.24; and neighbors group, 11.11±6.72.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3.55±3.32 (total score: 15). Individuals in the no depression group were 94(66.6%); mild depressive symptoms group, 38(27%); and moderate depressive symptoms group, 9(6.4%). Furthermore, the mean score of dementia management self-efficacy was 7.11±2.38 (total score: 10), while that of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was 28.66±3.81 (total score: 36). 2) While analyzing differences in preventive behavior of dementia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as observed according to age (t=-2.72, p=.007), religion (t=2.67, p=.009), perceived level of health (F=7.93, p=<.001), and experience in education of dementia (t=0.99, p=.009). 3) Whil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ementia-preventive behaviors and depression (r=-.469, p<.001) were no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and social networks(r=.376, p<.001), and dementia management self-efficacy (r=.415, p<.001) were also observed. 4) After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noticed the following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 age groups (≥65 years old)(β=.14, p=.044), religion (β=.16, p=.023), social networks (β=.19, p=.011), depression (β=-.27, p=.002), and dementia management self-efficacy (β=.24, p=.003). The total explanation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dementia-preventive behaviors among older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during an infectious disease outbreak such as Covid-19,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to increase contact with social networks, reduce depression in high-risk groups and older individuals in general, and increase self-efficacy to prevent and manage dement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 dementia-preventive behaviors among older community-dwelling individuals.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261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