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인간과 인간의 만남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교사들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이 실현되는 곳으로, 교사들의 전문성을 어떻게 계발하고 발현시킬 것인가는 학교지도자가 어떠한 리더십을 발휘하는가와 매우 관련이 깊다. 본 연구는 학교지도자로서 교장의 리더십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연구에서 벗어나, 교감의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조직에 가장 적합한 리더십이 도덕적 리더십(Sergiovanni, 1992; 오순문, 2010; 윤소희, 2017)이라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교감의 도덕적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성숙도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감의 도덕적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직무성숙도가 매개효과를 갖는가?
둘째, 교감의 도덕적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의 심리적 성숙도가 매개효과를 갖는가?
이와 더불어 연구 대상의 집단별 차이는 어떠한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중등학교 60개 학교, 교사 8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성숙도는 교감의 도덕적 리더십 능력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거나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감의 리더십 역량 뿐 아니라 교사성숙도에 대한 이해와 역량 개발이 학교조직의 안정적인 발전과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교사성숙도가 완전매개 관계효과를 갖는 경우는 교감이 직접적으로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교사변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교감이 학교업무에 직접 관여하여 전면에 나서기보다는 지원자, 상담자, 장학자, 중간자, 촉진자로서 교사들의 사기를 북돋아 주고 칭찬과 격려, 적극적인 기회 제공, 권유 등의 방법으로 교사들의 자발성과 전문성을 이끌어 내는 능력이 교감 리더십의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라 점이다.
둘째, 교감의 도덕적 품성은 교사성숙도와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덕적 품성은 청렴성, 사명감, 공정성, 책임감을 구성 요소로 하였다. 이러한 품성을 갖춘 교감이 학교조직에서 존경과 신뢰를 얻게 될 것이며, 구성원의 자발성을 발현시킬 것으로 가정하였다. 교감은 학교의 모든 교육활동과 행정업무를 직접 관리하고 지도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교감의 역할 수행에 도덕적 품성보다는 도덕적 리더십 능력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교감 자격연수나 직무연수 등을 통하여 교감의 도덕적 리더십 능력과 관련된 리더십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의 경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 분석 결과 경력이 높을수록 교감의 도덕적 리더십, 교사성숙도,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평균값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특이한 사항은 11년~20년 사이의 교사들은 학교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과 조직적응에 대하여 저경력이나 고경력 교사들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교사는 교직 생애 전 기간을 통하여 많은 영역에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변화와 발달을 이어가고 있다. 교사 발달이 학교조직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교직 생애 주기별 연수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거나, 일정 간격을 설정하여 교사의 자격을 재교부하는 방안 등과 같은 제도적 보완책에 대하여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