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간 맥락에서의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지윤-
dc.contributor.author이민주-
dc.date.accessioned2022-11-29T03:01:27Z-
dc.date.available2022-11-29T03:01:27Z-
dc.date.issued2022-08-
dc.identifier.other32254-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1181-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2022. 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집단간 맥락에서의 샤덴프로이데를 알아본 연구이다. Hudson, Cikara, Sidanius (2019)의 개념적 재현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 링크를 통한 실험을 구상하고 진행하였다. ‘최소집단 패러다임(minimal group paradigm)’을 통해 내집단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샤덴프로이데와 외집단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샤덴프로이데의 양상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관계를 사회지배지향성(Social Dominance Orientation)이 조절하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예상되었던 가설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임의로 나누어진 집단이었음에도, 외집단을 대상으로 느끼는 샤덴프로이데가 내집단을 대상으로 느끼는 샤덴프로이데보다 더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추가분석을 통해, 사회지배지향성이 샤덴프로이데를 부분적으로 예측한다는 사실과, 남성을 대상으로 느끼는 샤덴프로이데와 여성을 대상으로 느끼는 샤덴프로이데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나아가 동성을 대상으로, 이성을 대상으로 느끼는 샤덴프로이데는 성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한국에서 활발히 연구되지 않은 샤덴프로이데를 알아본 실험 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A.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 3 1. 샤덴프로이데의 정의 3 2. 대인관계 맥락에서의 샤덴프로이데 4 3. 집단의 구분과 집단 맥락에서의 샤덴프로이데 8 B. 사회지배지향성(Social Dominance Orientation) 11 C. 대한민국의 갈등상황 12 1. 집단 갈등과 샤덴프로이데 12 2. 경쟁상황 14 3. 이론적 배경 마무리 16 Ⅲ. 연구 20 A. 개념적 재현 연구소개 20 B. 연구 가설 22 C. 연구 방법 22 1. 연구 절차 22 2. 측정 도구 24 Ⅳ. 연구 결과 29 A. 분석 절차 및 자료분석 29 B. 연구결과 30 1. 상관분석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작확인 30 2. 측정치에 대한 개별 평균차이 결과 32 3. 혼합변량분석 결과 34 4. 사회지배지향성의 조절 효과 검증 결과 36 5. 본 분석 정리 및 요약 38 6. 추가분석 38 6-1. 단순회귀분석(사회지배지향성과 내/외집단 및 샤덴프로이데 총량) 39 6-2. 성차 41 Ⅴ. 결론 및 종합 논의 46 참고문헌 5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집단 간 맥락에서의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
dc.title.alternativeSchadenfreude in the Intergroup Context-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c.contributor.department일반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2. 8-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254366-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2254-
dc.identifier.url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2254-
dc.subject.keyword논문-
dc.subject.keyword사회심리-
dc.subject.keyword아주대학교-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chadenfreude in intergroup context. Based on the conceptual replication study of Hudson, Cikara & Sidanius (2019), this study constructed an experiment via online.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ingroup members’ and outgroup members’ schadenfreude in ‘minimal group paradigm’ with Social Dominance Orientation(SDO). As the result, main experimental hypotheses were not accepted, however, participants felt more schadenfreude of outgroup members relative to ingroup members even if it was arbitrary group categorization. Also, this study found additional results that whether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predicts Schadenfreude, and that target’s gender makes different amounts of schadenfreude.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each gender reveals different patterns of Schadenfreude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 is the same gender or the other gende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a rare experiment to examine schadenfreude in Korea, and proposes importance, limitations.-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