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잔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많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 휴지기 동안 파노라마 방사선 상의 하악 피질골 두께를 관찰함으로써 잔류 효과를 조사해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본 후향적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아주대학교병원에서 MRONJ로 진단되어 부골 적출술을 시행 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비스포스포네이트 처방의와의 협의진료 하에 약물을 중단하도록 교육되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은 약물 휴지기 시작 (T0), 12 개월 이후 (T1), 18 개월 이후 (T2)에 촬영되었다. Ledgerton 등의 방법에 의하여 지표값을 계산하였다 (panoramic mandibular index와 mental index). 시간의 따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T0와 T1의 지표값 차이는 없었으나 (Paired t-test, P>0.05), T0와 T2의 지표값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Paired t-test, P<0.05).
결론: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 중단 18개월 이후부터 파노라마 방사선 영상에서 하악 피질골의 두께 감소가 관찰되었다.
Alternative Abstract
Objectiv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so far on residual effect of bisphosphona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adiographic changes of mandibular cortical thickness in bisphosphonate drug holiday.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s 36 patients diagnosed as MRONJ at Ajou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2010-2021. All patients were educated to stop taking bisphosphonate under consultation with the prescribing physicians. Panoramic radiograph study was done at the starting point of discontinuation (T0), 12 months after (T1) and 18 months after (T2) discontinuation of bisphosphonate, respectively. Mental index and panoramic mandibular index were calculated using Ledgerton’s method. Paired t-test was used for analyzing statistical difference over time.
Results: The difference in indices (mental index and panoramic mandibular index) of T0 and T1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aired t-test, P>0.05). However, the difference in indices (mental index and panoramic mandibular index) of T1 and T2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aired t-test, P<0.05).
Conclusion: The cortical thickness of mandible decreased in the late stage (after 18 months) on panoramic radio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