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요인

Alternative Titl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uthor(s)
홍현주
Advisor
송미숙
Department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2-02
Language
kor
Keyword
낙관성대장암 환자사회적 지지외상 후 성장항암화학요법
Abstract
본 연구는 대장암 진단 이후 힘든 치료과정을 경험하는 환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치료를 극복하며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수준을 파악하고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대장암을 진단받고 치료중인 입원 및 외래환자 115명으로, 2021년 1월 20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외상 후 성장 수준은 정영미와 박진희(2017)가 개발한 암 환자 특이형 외상 후 성장 도구로,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안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도구로, 낙관성은 Scheier, Carver(1985)가 개발하고 Bridge, Carver와 Scheier(1994)가 개정한 후 김혜영(2009)이 번안한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대상자는 남성이 71명(61.7%)으로 평균 연령은 59.7±9.1세이며 암 진단 후 경과 기간은 평균 15.9±14.3개월이었으며, 1년 이하인 군이 70명(60.9%)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자의 암 병기는 3기의 대상자가 54명(47.0%)로 가장 많았다.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횟수는 평균 13.6±10.4회였으며, 장루를 가진 연구대상자는 32명(27.8%)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수준은 평균 59.50±19.24점(총점 92점)이었으며 이들이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 수준은 평균 45.20±9.67점(총점 60점)이었다. 낙관성 수준은 평균 16.17±3.34점(총점 24점)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중 가계 월 평균소득과 항암화학요법 횟수에 따라 외상 후 성장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가계 월 평균소득이 400만원 미만인 군의 외상 후 성장 수준이 400만원 이상인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t=2.62, p=.026). 그리고 항암화학요법 횟수가 12회 이상인 군이 6회 미만인 군에 비해 외상 후 성장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F=5.28, p=.006). 4. 연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사회적 지지(r=.52, p=<.001), 낙관성(r=.3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낙관성(r=.54,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43, p<.001), 항암화학요법 횟수(β=.27, p<.001), 낙관성(β=.19, p=.041), 가계 월 평균소득(β=.17, p=.028)임을 확인하였으며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설명력(R2)은 36.3%였으며 회귀 모형은 유의하였다(F=17.25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장암 환자에게 지지적 간호를 제공하며 사회적 지지, 낙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력적 전략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대장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786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Nursing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