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와 직접적인 농촌생활 중 학습경험을 그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경험의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경험에서 나타난 평생교육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이와 같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질적연구방법을 택하였고, 귀농희망인부터 귀농경력이 5년 이하인 현재 농업을 하고 있는 귀농인까지 4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각자 다르게 귀농이전 생활에서의 스트레스와 불만 고민등을 가지고 있었고 이것들을 해결해줄 수 있는 매개로 귀농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다음은,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이 어떠한 학습경험을 했는지에 대한 탐색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의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을 포함하여 다양한 농업관련 학습경험은 어떠하였으며 그 경험의 축적으로 그들의 성장과 변화를 네 유형으로 살펴보았다. 첫 번째, 귀농과정에서의 다양한 갈등으로 인해 새로운 환경으로의 적응과정 중 어려움을 느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도 연구참여자들은 나름의 방법으로 농촌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며 갈등관계를 해결하고 긍정적 관계맺음을 하는 등의 극복해내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는 귀농인으로 거듭나기 위한 학습을 통한 성장과 변화이다. 연구참여자들은 귀농에 필수 분야이자 상대적으로 부족한 농업에 대한 정보와 지식의 습득을 하여 귀농인으로의 전문성을 확립하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귀농교육프로그램에 참여를 포함한 다양한 농업관련 학
습경험을 하였다. 세 번째는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귀농교육프로그램의 아쉬움에 대한 성찰이다.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귀농기초단계부터 귀농심화과정까지 여러 귀농교육프로그램의 참여경험이 있고 이 과정을 통해 귀농인 개인이 느끼는 귀농교육프로그램의 아쉬움에 대해 성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은 귀농정책의 한계점에 대해서도 이야기하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네 번째,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을 통해 다양한 모습의 성장과 변화를 성취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습경험이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에게 주는 의미를 밝혀보았다. 첫째, 관계맺음을 통한 학습과 성장을 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귀농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을 통해 관계맺음을 할 수 있었는데 여기에서 생겨난 관계맺음이 단순히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넘어 귀농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얻거나 농업에 필요한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은 연구참여자로 하여금 교육의 재분배 역할을 하도록 유도하였다. 귀농교육프로그램의 참여를 포함하여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들은 개인의 SNS나 강의활동을 통해 농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직간접적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이 농업과 관련한 교육의 재분배 역할을 한다는 것은 나눔의 가치를 알게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그 의미가 크며 농업에 대한 교육이 아니어도 다른 분야의 교육이 확산되는 것은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지역주민들과 함께 나눔의 가치를 공유하고 인식하게 되는 긍정적 경험이 된다. 셋째,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은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에게 귀농 이전에는 느끼지 못하던 행복감을 느끼게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이 갖고 있던 고민을 종합해보면 결국 결여된 행복감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을 통해 귀농 이전에 가지고 있던 고민과 걱정,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귀농 이전에 잃어버린 행복감을 되찾았다는 점에서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를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관련 학습경험은 연구참여자들에게 큰 의미를 갖는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학습경험을 통해 자기주도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스스로 관심 있고 필요한 농업분야를 찾아 관련 교육에 참여하거나 관계맺음 속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귀농을 계획하고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기주도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성인학습자로서의 성장과 변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다섯째, 경험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었다. 귀농교육의 특성상 직접 심어보고 수확해보는 등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학습이 매우 중요한데 오프라인 실습교육을 포함하여 농촌생활 중에 생겨난 관계맺음 속 학습경험들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직접 경험해보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자들의 귀농교육프로그램 참여경험을 포함한 농촌생활 속 농업과 관련한 학습경험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변화하고 성장하였다. 이를 통해 귀농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한 학습경험 자체가 평생교육적으로도 큰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농촌마을이 협업하여 귀농희망자와 귀농인들을 대상으로 귀농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와 니즈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귀농교육프로그램에 반영하여 효과적이고 체계화된 운영을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귀농관련 지원정책에서 지원을 받기위한 귀농교육프로그램을 좀 더 다양화하고 실용적인 교육내용으로 개편되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귀농인구도 늘어나고 귀농대상도 다양해지는만큼 귀농인들이 주체가 되어 지역교육공동체를 구축하고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교육재분배 활동과 지역사회공헌에 관련한 활동이 좀 더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