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북한 전략사고와 대북정책에 관한 연구

Subtitle
후진타오 및 시진핑 시기를 중심으로
Alternative Title
The Study of China’s Strategic Thinking toward North Korea and North Korea Policy: Focused on the Hu Jintao and Xi Jinping Era
Author(s)
과숙한
Alternative Author(s)
GUO SHUXIAN
Advisor
김흥규
Department
일반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2-02
Language
kor
Keyword
대북한 전략사고북중관계시진핑 시기중국의 대북정책후진타오 시기
Abstract
중국 내 대북한 관련 전략사고들은 후진타오 집권 1기부터 시진핑 집권 1기까지 15년간 명백한 분화 및 진화 과정을 거쳤다. 중국은 중국공산당 일당 집권 국가라고 하지만 대북정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결코 단일한 전략사고를 가지고 권위적으로 결단을 내리지 않는다. 이 논문은 중국 내 대북정책 토론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행위자들의 인식 변화를 통해 중국 지도부의 대북전략 선택과 북중관계의 보다 중장기적인 변화 추이를 추론하였다. 중국 내 대북한 전략사고는 우선, 중국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입각하여 세 개의 상위 분파, 즉 전통적인 지정학론, 개발도상 대국론, 부상중인 강대국론으로 나눌 수 있다. 전통적인 지정학론자들은 전통적 지정학 이론에 입각하여 한반도에 여전히 잔존하는 냉전적 전략구도 속에서 북중 간 특수관계, 북한의 전략적 장벽 역할, 북한 김씨 정권의 존속 및 체제의 안정성, 중국의 대북(대한반도) 영향력 및 통제력 강화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개발도상 대국론자들은 중국이 개혁·개방 이후 20여 년간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종합국력으로 따지면 여전히 개발도상국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21세기 초반을 중국이 세계 강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전략적 기회의 시기”로 간주하며 지속적이고 빠른 경제성장을 뒷받침할 평화롭고 안정적인 주변환경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부상중인 강대국론자들은 2001년 9·11 테러사건과 2002년 제2차 북핵위기, 특히 2008년 국제금융위기와 2009년 제2차 북한 핵실험 이후 세계구도의 변화 속에서 강대국으로서 신속히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군사력에 초점을 맞춘다. 전 세계를 전략공간으로 인식하면서 중국의 새로운 위상에 걸맞게 보다 진취적이고, 필요하다면 다소 강경한 대북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북핵문제에 있어서 시진핑 1기시기에는 한반도 비핵화라는 목표 달성을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대북제재에 대해 더욱 긍정적이거나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상기의 상위 분파 내에서 후진타오 집권 1기부터 시진핑 집권 1기까지 각 시기별 중국 전문가들의 중국 대북정책과 북중관계에 대한 견해를 하위 이론 분파로 나누는 세부적인 분류 작업을 진행하였다. 후진타오 집권 1기에 전통적인 지정학론은 전략완충론과 남북균형론으로, 개발도상 대국론은 실용주의론과 대유작위론으로, 부상중인 강대국론은 다자주의론과 핵비확산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 후진타오 집권 2기에 전통적인 지정학론은 동맹강화론과 핵우산론, 제재신중론으로, 개발도상 대국론은 이견보류론으로, 부상중인 강대국론은 강제외교론과 제재찬성론으로 분화하였다. 시진핑 집권 1기에 전통적인 지정학론은 무조건적인 북한 지지론과 조건부 북한 지지론, 북한 핵보유 묵인론, 현상변경 불가론으로, 개발도상 대국론은 유연한 실용주의론으로, 부상중인 강대국론은 제한적인 제재론과 적극적인 제재론, 불완전 북한 포기론, 완전한 북한 포기론으로 재분화하였다. 이들 분화된 대북한 전략사고는 중국 지도부의 깊은 고민을 반영함과 동시에 중국 대북정책의 수립에도 갈수록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국제정치의 변수가 복잡화된 현재 전문가 집단의 도움 없이는 정책결정이 더욱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중국 지도부 역시 싱크탱크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중국 지도부는 정책결정 과정에서 이들 대북한 전략사고 분파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분파의 견해를 적절하게 결합하여 최적화된 대북정책을 취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후진타오 집권 1기의 대북한 전략사고 중에서는 실용주의론과 다자주의론이 중국의 대북정책에 비교적 크게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후진타오 집권 2기의 대북한 전략사고 중에서는 제재신중론과 이견보류론이 중국의 대북정책에 비교적 크게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진핑 집권 1기의 대북한 전략사고 중에서는 유연한 실용주의론과 제한적인 제재론이 중국의 대북정책에 비교적 크게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시진핑 2기 이후는 미중 전략경쟁이라는 새로운 구조적 변수에 직면하고 있다. 이 구도에서 중국의 대북 전략사고는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는 추후 연구로 남겨둔다. 현재의 추론으로는 중국은 핵심이익에 속하지는 않는 북핵문제를 대외정책의 우선순위에 두지 않을 것이다. 미중 관계라는 보다 상위의 개념 속에서 이 한반도 문제를 바라볼 개연성이 크다. 중국은 북중 간 고위급 인적 교류 증진과 대북한 전통적 우호관계 강화를 토대로 북한 카드를 활용하여 한반도 및 동북아에서 대미 전략적 균형을 유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북한 비핵화는 당분간 중국의 정치·외교 의사일정에서 뒤로 밀리고 더욱 장기화될 개연성이 커 보인다. 중국의 대북정책은 한반도 현상변경보다도 현상유지에 더 치중할 개연성이 커 보인다.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의지가 분명하다는 전제하에 중국은 북한과의 전략적 소통·교류 강화를 통해 북한의 합리적인 관심사 해결과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완화에 힘써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북중 안보협력 및 경제무역관계 강화를 통해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정책을 취할 것으로 판단된다.
Alternative Abstract
The Communist Party has governed China, where policy-making is known as top-down. However, this paper illustrates that it has never made a single-minded decision with single strategic thinking in determining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since Hu Jintao era. Strategic thinking related to North Korea in China went through an obvious process of diversification and evolution for 15 years, from Hu Jintao's era to the first term of Xi Jinping. This paper inferred the Chinese leadership's choice of strategy against North Korea and the trend of mid-to-long-term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hrough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actor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discussion on North Korea policy in China. Strategic thinking against North Korea in China has three upper groups based 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hina's self-identity: the Traditional Geopolitics School, the Developing Major Power School, and the Rising Great Power School. The first group, the Traditional Geopolitics School, pays attention to uniqu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North Korea's strategic buffer-zone role, and the Cold War legacy that remains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group, the Developing Major Power School, believes that China is still a developing country with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even though it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s reform and opening-up. This group regards the early 21st century as a critical "period of strategic opportunity" to determine whether China can emerge as a great power and values the peaceful and stable surroundings to support sustainable and rapid economic growth. The other Rising Great Power School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re progressive and somewhat stricter North Korea policy in line with China's rapidly emerging economic and military power. This group considers achieving the goal of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more critical than anything else in North Korean issues and shows a more positive or active attitude towar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is paper conducted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Chinese experts' views on China's North Korea policy and North Korea-China relations by sub-theoretical divisions from Hu Jintao's first term to Xi Jinping within the above upper divisions. In Hu Jintao's first term, the Traditional Geopolitics School evolved into a strategic buffer zone and inter-Korean balance groups. The Developing Major Power School became pragmatic and active engagement groups. The Rising Great Power School became multilateralists and nuclear non-proliferation groups. In Hu Jintao's second term, the Traditional Geopolitics School evolved into alliance reinforcement, nuclear umbrella, and cautious sanctions groups. The Developing Major Power School became a disputes shelving group. And the Rising Great Power School evolved into coercive diplomacy and sanctions support groups. In Xi Jinping's first term, the Traditional Geopolitics School had four sub-groups: unconditional North Korean support, conditional North Korean support, North Korean nuclear acquiescence, and status quo changing disapproval groups. The Developing Major Power School evolved into a flexible pragmatism group. And the Rising Great Power School can be classified into limited sanction, aggressive sanction, incomplete North Korea give-up, and whole North Korea give-up groups. This differentiated strategic thinkings against North Korea reflects the deep concerns of the Chinese leadership and has increasing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China's North Korean policy. It is because policy-making has become more difficult without the help of a group of experts, where variables in international politics have become affluent nowadays. The Chinese leadership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ink tanks. Therefore, we assume that the Chinese leadership took an optimized North Korea policy by appropriately combining the views of one or several of these strategic thinking divisions against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Among the strategic thinkings against North Korea in Hu Jintao's first term, the pragmatism theory and the multilateralism theory had a relatively significant impact on China's North Korean policy. Among the strategic thinking against North Korea in Hu Jintao's second term, the sanctions caution theory and the disputes shelving theory had a relatively significant impact on China's policy toward North Korea. Among the strategic thinking against North Korea in Xi Jinping's first term, the flexible pragmatism theory and the limited sanction theory had a relatively significant impact on China's North Korean policy. China's policy toward North Korea seems more likely to focus on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an on changing the status quo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futur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 will use the North Korean card to maintain a strategic balance with the U.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nd will not prioritiz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for China's North Korean policy.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North Korea's denuclearization will be pushed back from China's political and diplomatic agenda for the time being and will be prolonged further. Under the premise that North Korea's willingness to denuclearize is apparent, China would preserve North Korea's reasonable interests and ease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anctions on North Korea by strengthening strategic communication and exchanges with North Korea. In addition, China would take a policy to expand its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trengthening the security cooperation and the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631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