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 다이어트(Mind Diet)

Subtitle
자기조절 계발을 위한 명상 기반 프로그램
Author(s)
마정이
Advisor
김완석, 신강현
Department
일반대학원 라이프미디어협동과정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2-02
Language
kor
Keyword
다차원적 자기조절마인드 다이어트 프로그램(Mind Diet Program)전반적 삶의 질전인적 성장
Abstract
명상은 오랜 전통만큼 여러 방법과 기법들이 존재하며, 각 명상법에 따라 추구하는 목적과 효과도 다양하다(Nash, Newberg & Awasthi, 2013). ‘마인드 다이어트 프로그램(Mind Diet Program: 이하 MDP)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주로 자기 조절력 향상을 위한 명상 기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김완석, 2019). 이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은 MDP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이 대표적인 세 가지 명상법의 효과 과정을 바탕으로 구성되어 다차원적 자기조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MDP의 이론적 토대의 타당성과 다차원적 자기조절에 대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MDP의 이론적 토대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우선 MDP의 각 모듈이 기반으로 하는 명상법들이 키우고자 하는 기본적인 자질인 주의집중, 마음챙김, 자비심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주의집중은 이완용이성을, 마음챙김은 관점변화를, 자비심은 사회적 긍정정서의 향상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차별적 과정을 통해 최종 종속변수인 삶의 만족을 증진할 것이라는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주의집중은 예상대로 다른 매개변수 보다는 주로 이완용이성을 통해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주의집중의 주요경로), 그 외에 사회적 긍정정서 향상을 통해서도 삶의 만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주의집중의 부수경로). 마음챙김 또한 예상했던 것처럼 다른 매개변수 보다는 주로 관점변화를 통해 삶의 만족을 향상시켰다(마음챙김의 주요경로). 반면, 마음챙김은 이완용이성을 통해서는 오히려 삶의 만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마음챙김의 부수경로). 이는 예상과는 다른 결과로 본 연구에서 마음챙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마음챙김의 주의-자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마음챙김이 사회적 긍정정서를 통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마음챙김의 부수경로). 자비심은 예상대로 다른 매개변수 보다는 사회적 긍정정서를 통해 삶의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자비심의 주요경로), 관점변화를 통해서는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자비심의 부수경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각 명상법이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1은 각 명상법의 주요 효과 기제들을 하나의 모형에서 동시적으로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인과 관계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2는 개입 연구를 통해 MDP가 다차원적 자기조절과 전반적인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MDP 처치 집단)과 통제집단(무처치 집단)을 구분하여 신체‧심리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주의집중, 이완용이성, 신체 및 심리 증상), 인지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마음챙김, 관점변화, 정서 및 행동조절), 사회 정서적 자기조절 관련 지표(자비심, 사회적 긍정정서, 이타행동, 대인관계능력), 전반적인 삶의 질 관련 지표(삶의 만족, 신체적 건강, 심리적 건강, 사회적 건강)에 대해 총 4회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1차 측정은 프로그램 실시 전(사전), 2차 측정은 모듈1이 완료된 시점, 3차 측정은 모듈2가 완료된 시점, 4차 측정은 모듈3이 완료된 시점(사후)에 이루어졌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첫째 MDP는 신체적 건강을 제외한 삶의 만족, 심리적 건강, 사회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건강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MDP는 주의집중, 이완용이성, 신체 및 심리 증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DP는 행동조절을 제외한 마음챙김, 관점변화,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DP는 이타행동을 제외한 자비심, 사회적 긍정정서, 대인관계능력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타 행동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들은 각 모듈이 주요 효과기제를 통해 서로 다른 영역의 자기조절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으며, 서로 상호 보완적인 측면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MDP가 다차원적인 자기조절력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으며, 개인의 전인적 성장 및 삶의 질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MDP는 명상법들의 주요 효과 기제를 고려하여 각 모듈을 구성하였기 때문에 계발하고자 하는 자기조절의 영역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616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Life and Media Cooperation Course > 4. Theses(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