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이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퇴원연계서식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oke Discharge Patient Linkage Program on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Discharge care plan Satisfaction
Author(s)
박자인
Alternative Author(s)
PARK. Ja-IN
Advisor
이윤환
Department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1-08
Language
kor
Keyword
간호사의 근무환경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퇴원계획서식에 대한 만족도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Abstract
본 연구는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이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뇌졸중 환자의 수가 지속해서 증가와 진료비 및 사회적 비용의 증가, 그리고 원활하지 못한 뇌졸중 퇴원환자 재·퇴원 연계 의료서비스로 인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는 2019년 7월부터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으로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이 간호사들의 간호환경과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위 사업이 간호사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뇌졸중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들에 대한 근무환경의 개선과 뇌졸중 환자를 위한 통합적인 간호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1.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은 양질의 간호를 위한 환경 조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은 간호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은 간호사의 퇴원환자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에 대한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 400명 설문 응답자 중 323명의 재활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t 검정과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 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 간호사 참여 실태 하위 요인 중 근무 부서는 병동보다 응급실일 때 간호근무환경 요인 중 간호사의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둘째,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가 많은 간호사일 때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일반 병동보다 응급실,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근속 연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간호사인 경우,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하위 요인 중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비율이 높은 간호사들이인 경우,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근무 부서는 병동보다 응급실,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가 많은 간호사인 경우, 진료 과목이 내과보다 재활의학과에 근무하는 간호사일 때 간호근무환경 요인 중 간호 관리자의 능력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근무 부서는 일반 병동보다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 근속 연수가 상대적으로 높은 간호사인 경우,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하위 요인 중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비율이 높은 간호사인 경우가 간호근무환경 요인 중 간호사에 대한 지지와 충분한 인력과 물질적 지원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여섯째,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 간호사 참여 실태 하위 요인 중 근무 부서는 일반 병동보다 응급실과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인 경우, 상대적으로 하루 평균 담당 환자 수인 많은 간호사인 경우와 진료 회송서 인식 및 활용도 하위 요인 중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 참조비율이 높은 간호사인 경우가 간호근무환경 요인 중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뇌졸중 퇴원환자 연계사업에서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은 수도권·대도시가 아닌 지역은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 진료를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퇴원환자연계서식(Discharge care plan)의 활용률을 높이고, 뇌졸중 퇴원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지역 보건의료기관 간 공공보건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460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 Department of Public Health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