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의 이상 자녀 수 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호정화 | - |
dc.contributor.author | 강성민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54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54Z | - |
dc.date.issued | 2021-08 | - |
dc.identifier.other | 31181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45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사회학과,2021.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기혼여성의 이상 자녀 수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상 자녀 수와 가족 가치관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가족 가치관과 이상 자녀 수의 관련성이 저출산 영향력에 대한 인식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19세부터 49세까지 기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이상 자녀 수는 2명을 기점으로 하여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가치관 중 결혼 필요성, 자녀 필요성, 자녀에 대한 정서적 가치가 높을수록 이상 자녀 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5년과 2018년에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가족 가치관을 통제한 상태에서 저출산 영향력 인식이 높을수록 이상 자녀 수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저출산의 영향력 인식에 따라 가족 가치관 중 자녀 필요성과 이상 자녀 수의 관련성은 차이가 존재했다. 다섯째, 이상 자녀 수는 출생 코호트별로 차이가 났으며, 최근에 출생한 코호트일수록 이상 자녀 수는 낮아졌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 가치관과 저출산 영향력의 인식은 이상 자녀 수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으며, 자녀 필요성과 이상 자녀 수의 관계에서 저출산 영향에 대한 인식이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이상 자녀 수에는 나이에 의한 효과가 아닌 출생세대로 인한 코호트 효과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밝혔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 배경 1 제 2절 연구목적 3 제 2장 선행연구 검토 4 제 1절 인구변동에 관한 이론적 접근 4 1. 제2차 인구변천 이론 4 2. 탈물질주의 가치 이론, 선호이론 6 제 2절 한국의 인구변동 8 1. 한국의 출산력 변천 과정 8 2. 가족 가치관의 변화 13 3. 이상 자녀 수의 변화 16 제 3절 가족 가치관 19 제 4절 저출산 영향에 대한 인식 21 제 3장 연구방법 24 제 1절 연구 설계 24 1. 분석 자료 24 2. 연구대상 25 3. 연구모형 25 4. 연구가설 27 제 2절 변수 측정 29 1. 이상 자녀 수 29 2. 가족 가치관 30 3. 저출산 영향에 대한 인식 33 4. 통제변수 34 제 3절 분석방법 36 제 4장 분석 결과 37 제 1절 기술통계 37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37 2. 상관관계 분석 41 제 2절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42 1. 이상 자녀 수 분석 : 2000-2018 42 2. 이상 자녀 수 분석 : 2015-2018 45 3. 출생코호트 효과 검증 51 4. 소결 57 제 5장 결론 및 한계 62 제 1절 연구 결과 62 제 2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66 <참고문헌> 68 Abstract 72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기혼여성의 이상 자녀 수 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Analysis of the number of ideal children of married women: Focusing on family values and awareness of the impact of low birth rate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ang Sungmin | - |
dc.contributor.department | 일반대학원 응용사회학과 | - |
dc.date.awarded | 2021.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228004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1181 | - |
dc.identifier.url | https://dcoll.ajou.ac.kr/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1181 | - |
dc.subject.keyword | 가족 가치관 | - |
dc.subject.keyword | 이상 자녀 수 | - |
dc.subject.keyword | 저출산 | - |
dc.subject.keyword | 저출산 영향에 대한 인식 | - |
dc.subject.keyword | 조절 효과 | - |
dc.title.subtitle | 가족 가치관과 저출산 영향 인식을 중심으로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