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0대 여성의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Subtitle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통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Author(s)
이재인
Advisor
신희천
Department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21-08
Language
kor
Keyword
SNS 중독경향성소외에 대한 두려움스트레스 대처방식조절된 매개효과코로나 19 스트레스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 30대 성인 여성 20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스트레스, 소외에 대한 두려움, SNS 중독경향성,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측정하였고, SPSS 22.0, SP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또다시 정적인 영향을 미쳐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망적 사고가 코로나 19 스트레스와 소외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소망적 사고의 수준이 높을수록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거쳐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망적 사고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이 증명되었다. 소망적 사고의 수준이 높을수록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갖는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Alternativ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the Stress Coping Styles through Fear of Missing Out on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ubjects were 208 Women aged 20s to 30s. They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following questionnaires: COVID-19 Stress Scale for Korean People(CSSK),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Missing Out(K-FoMO) Scal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Ways of coping check lis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2.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ful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Missing 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econd,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hopeful thinking on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Fear of Missing Out was found. Third, the moderating mediating effect of hopeful thin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Fear of Missing Out, SNS Addiction Proneness was found. Also, based on the finding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399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