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비교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미현-
dc.contributor.author구아현-
dc.date.accessioned2022-11-29T02:32:39Z-
dc.date.available2022-11-29T02:32:39Z-
dc.date.issued2021-02-
dc.identifier.other30899-
dc.identifier.uri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20205-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2021. 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영재교육은 수학과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7년에 처음으로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가적 영재교육 계획 관련 연구는 대부분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에 편중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1차부터 제3차까지의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수립 배경 및 특징과 회차별 세부추진과제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정책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미래 과학영재를 위한 정책 수립에 방향성을 제시하여, 제4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수립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1차부터 제3차까지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을 연구 대상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고, 세부추진과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학영재교육 전문가 5인의 의견을 토대로 연구자가 종합하여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더불어 공개된 영재교육 관련 통계 자료를 함께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은 5개년 계획으로 국가적 영재교육 중장기적인 비전을 설정하며 수립된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을 보완을 목적으로 수·과학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정책을 차별화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회차별 비전, 목표 및 세부추진계획 등을 비교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제1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은 과학영재교육 현장의 기반 구축과 체계화를 중점적으로 다뤘고, 제2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에서는 창조경제를 이끌어나갈 맞춤형 인재를 위하여 전주기적인 육성체계를 다루었다.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역량 강화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소수 선발 교육에서 개방형 교육으로의 전환을 주장하였다. 이를 통해 회차별 비전, 목표 및 세부추진계획 등은 미래 과학기술인재 양성이라는 공통적인 목표와 더불어 당시의 시대 역량 변화를 반영하였다는 특징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회차별 과학영재교육의 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차에서 제2차로 넘어가며 약 3배 증가하였으나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계획 수립 당시 학령인구의 감소로 수혜율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학영재교육기관은 지속하여 증가하였고, 동 기관 수혜 학생 수도 증가하였다. 회차별 과학영재 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계획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차부터 제3차 모두 부처 간 역할 재정립을 통하여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운영방식을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계층화를 위해 교육대상자의 차별화, 교육프로그램 체계화 및 교육운영기관의 특성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다. 소외계층 과학영재를 위한 온라인 기반의 교육 학습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회차별 과학영재 발굴체계 개편을 위한 계획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회차에서 공통으로 입시를 위한 사교육을 지양하기 위하여 다단계 선발 및 관찰추천 등 판별·선발 모델을 개발하고자 계획하였다. 또한, 소외영재 및 고도영재와 같은 과학영재교육 제도권 밖의 영재를 위한 지원 계획도 수립하였다. 회차별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계획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획은 과학영재의 학교 급별로 교육기관 및 교육프로그램을 계층화하였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과 영재학교 및 과학고에서 기초 역량, 연구 역량, 개발역량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공계 핵심 리더를 위한 대학과정 연계 및 대학단계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회차별 과학영재 전인교육 지원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계획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래사회 과학기술인재로서 성장을 위한 정서적 전인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과학영재와 과학영재의 부모 및 교사에게 정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부터는 과학영재의 교육 기부 활동을 계획하였다. 회차별 과학영재 지원체계 확충을 위한 계획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율적인 과학영재교육 운영을 위하여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두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과학영재를 지도하는 교원 연수와 교육 콘텐츠 공유를 통하여 과학영재교육 전반의 질적 제고를 위했다. 회차별 과학영재 성과 공유 및 확산을 위한 계획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과관리를 위하여 제1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은 교육기관 및 프로그램별 기준을 제2차와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에서는 관리시스템과 평가 측정 도구 개발을 통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고자 하였다. 성과 공유는 국내에서는 공유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 국제적으로 컨퍼런스 등의 개최를 계획하였다. 위와 같이 제1차부터 제3차까지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을 키워드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분류된 세부추진계획들의 유사성 분석을 통해 중복되어 수립되는 계획을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내 세부추진계획에 대한 중간성과 및 실행 연구를 통해 원활한 계획 이행을 위한 추진 방향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연구의 제한점 4 4.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6 1. 이론적 배경 6 2. 선행연구 19 Ⅲ. 연구 방법 22 1. 연구 대상 22 2. 분석의 틀 22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24 1.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의 회차별 내용 비교 분석 24 2.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중점추진과제별 중간실행분석 31 Ⅴ. 결론 및 제언 61 1. 결론 61 2. 제언 64 참고 문헌 65 ABSTRACT 7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dc.rights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dc.title제1차~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비교 분석-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dc.typeThesis-
dc.contributor.affiliation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c.contributor.alternativeNameGoo, A-Hyun-
dc.contributor.department교육대학원 융합 인재·영재 교육-
dc.date.awarded2021. 2-
dc.description.degreeMaster-
dc.identifier.localId1204448-
dc.identifier.uciI804:41038-000000030899-
dc.identifier.url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899-
dc.subject.keyword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dc.subject.keyword문헌 연구-
dc.subject.keyword영재교육정책-
dc.subject.keyword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The nation's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is centered on mathematics and science, and the first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as established in 2007.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on the national plan for gifted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master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low of educational policies for science gifted students in Korea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from 1st to 3rd. It is also intende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future science gifted students, giving implications to the establishment of the 4th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To this end, a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as conducted for research from the 1st to the 3rd, and the researchers selected the keyword based on the opinions of five science gifted education experts to analyze detailed promotion tasks. In addition, statistical data related to gifted education were analyzed togeth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The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as established to differentiate policies b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the mathematics and science fields with the aim of supplementing the master plan for promotion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following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sion, goals, and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for each other. The first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and systematiz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sites, and the second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dealt with a pre-periodic development system for customized human resources to lead the creative economy. The third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established a plan to strengthen capabilities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dvocated the transition from minority selection education to open education due to the decrease in school-age population. This shows that the vision, objectives, and detailed promotion plans for each other reflected the change in capabilities of the times, along with the common goal of fostering futur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tal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gifted education is as follows. Although it tripled from the first to the second, the beneficiary rate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 age population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third plan to discover and foster science gifted students. However, the number of science and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ceived the institution also increased.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lans for establishing a science gifted learning system for each class are as follows. Both the first and third, governments established the way science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operated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roles between ministries. For the purpose of program stratification, differentiation of persons eligible for education, systematization of education programs, and characterization of educational operating institutions were considered comprehensively.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an online-based educational learning environment for science gifted students of the underprivileg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lan for the restructuring of the science gifted and talented excavation system are as follows. In order to avoid private education for entrance exams in the previous session, it was planned to develop discrimination and selection models, such as multi-level selection and observation recommendation. In addition, a support plan was established for the gifted outside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system, such as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highly gifted stud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lan for the expans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are as follows. The plan classifi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by school level for gifted scientists. The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 provided basic capabilities, research capabilities, and development capability programs, and planned university-level programs for core leaders in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well-rounded science gifted education in support program are as follows. Emotional programs were provided to parents and teachers of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the need for emotional well-rounded education for growth as a future social science and technology talent, and the 3rd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as plann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lan for expanding the support system for science gifted students are as follows.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established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y training teachers and sharing educational contents.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plans for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science gifted performance by rotation discrimination are as follows. For performance management, the first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as to manage standards b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grams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systems and evaluation measurement tools. Performance sharing was planned to provide a venue for sharing opportunities in Korea and to hold conferences internationally. As above, the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keyword.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overlapping plans through similarity analysis of classified detailed promotion pla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direction of implementation for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plan through intermediate performance and implementation research on detailed promotion plans in the third master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s.-
Appears in Collections:
Special Graduate Schools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Convergence Education and Gifted Education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