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유미현 | - |
dc.contributor.author | 권은영 | - |
dc.date.accessioned | 2022-11-29T02:32:25Z | - |
dc.date.available | 2022-11-29T02:32:25Z | - |
dc.date.issued | 2020-08 | - |
dc.identifier.other | 30256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936 | - |
dc.description | 학위논문(석사)--아주대학교 :교육,2020. 8 | -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으며, 영재교육 참여라는 특별한 경험으로 인해 영재교육 이후의 학습과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으며 진로의 선택에 어떤 결정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교사로서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들이 생각하는 영재교육 방향성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들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며 영재교육의 한계와 발전 가능성을 진단하고, 영재교육기관의 역할을 생각해보고 영재교육 체계 및 지원 방안에 대한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우선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의 주관적인 생각을 이해하고,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한 후, 마지막으로 그 의미를 유목화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의 자유로운 교육방식과 적극적인 지지는 영재교육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교사 추천과 부모의 지원 및 자발적인 학습 참여 의지가 영재교육 지원 동기였다. 둘째, 영재교육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심도 있는 수업과 다양한 경험으로 인해, 관련 분야에 대해 견문을 넓힐 수 있었으며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보고서 작성과 발표 수업은 탐구 능력에 대한 자신감 및 수업시간에서의 흥미를 느끼게 하였으며, 이는 학업 성취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선발 과정의 한계점이나 강의식 수업 방식은 조금 아쉬움이 남았다고 하였다. 셋째, 영재교육기관에서의 다양한 실험 위주의 수업 및 프로젝트와 산출물 발표 등은 전문가의 성취감을 느끼게 하였고, 진로를 구체화하고 확신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즉, 영재교육이라는 환경에 노출되면서 새로운 지식과 탐구 방법을 습득하고, 심도 있는 학습 내용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험들은 과학 관련 분야의 실력, 자신감, 학습태도, 생활 습관 등에 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과학 분야의 학문에 더욱 흥미를 느끼고 진로를 구체화할 수 있게 하였다. 넷째, 영재교육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교사라는 특성과 영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스스로 영재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해 융합인재 및 영재교육 전공 대학원에 진학하게 되었다. 영재 선발 방법, 영재교육 방법, 영재교육 운영 방법 등 전반적인 분야를 공부하고 싶은 의지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이 추구하는 영재교육의 방향은 인지적인 측면과 하고자 하는 의지를 고려하여 영재를 선발하고, 프로젝트와 실험, 토론을 중심으로 수업을 하는 것이며, 나아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발명 수업이나 메이커 수업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및 과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영재교육과의 연계성을 좀 더 폭넓게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으로 다양한 분야 및 지위에 있는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 교사들의 영재교육 인식에 대한 비교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미래 영재교육의 방향성을 위해 연구 참여자들이 지도자로서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추후 영재 학급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7 3. 용어의 정의 8 가. 영재교육 8 나. 영재교육기관 8 다. 영재교육 담당교사 8 라. 진로선택 9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0 1. 이론적 배경 10 가. 영재교육 모형 10 나. 영재교육의 필요성 12 다.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현황 15 라. 질적 연구 21 2. 선행연구 23 가. 영재들의 영재교육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23 나. 영재의 진로 결정에 관련된 연구 24 다. 영재교육의 연계와 관련된 연구 25 라. 영재교육의 중‧장기적인 효과 연구 26 마. 영재교육 연구 동향 분석 연구 27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28 1. 연구자 28 2. 연구 참여자 29 첫 번째 참여자 'A' 31 두 번째 참여자 'B' 32 3. 자료 수집 33 4. 자료 분석 및 해석 36 5. 연구의 윤리적 고려 40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1 1. 청소년기 영재교육 수료 경험 41 가. 영재교육원에 참여하게 된 동기 41 나. 영재교육에 대한 기대와 만족 44 2. 영재교육 수료 경험과 직업, 대학원 전공 결정 50 가. 진로의 구체화 50 나. 초등교사로서의 삶 51 다. 대학원 진학 57 3.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개선점, 바람직한 방향 인식 60 가. 영재교육에 대한 의견 60 나. 나의 영재교육 방향 65 V. 결론 및 제언 71 1. 결론 71 2. 제언 73 참 고 문 헌 74 | - |
dc.language.iso | kor | - |
dc.publisher |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 - |
dc.rights | 아주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 |
dc.title | 청소년기 영재교육 경험이 있는 초등교사의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 - |
dc.title.alternative |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ifted Education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during Adolescence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ffiliation |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 |
dc.contributor.department | 교육대학원 융합 인재·영재 교육 | - |
dc.date.awarded | 2020. 8 | - |
dc.description.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localId | 1151856 | - |
dc.identifier.uci | I804:41038-000000030256 | - |
dc.identifier.url | http://dcoll.ajou.ac.kr:9080/dcollection/common/orgView/000000030256 | - |
dc.subject.keyword | 영재교육 | - |
dc.subject.keyword | 영재교육 경험 | - |
dc.subject.keyword | 진로선택 | - |
dc.subject.keyword | 질적 연구 | - |
dc.subject.keyword | 초등교사 | -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the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during adolescence have experienced, and what changes have been made in learning and life after gifted education and what decisions have been made in career choice due to the special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gifted education. Also, I tri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ifted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at they thought.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as a whole, diagnose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s of gifted education, think about the role of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seek directions for the gifted education system and support measures. The study proceeded as follows. I first understood their subjective though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participants, then grasped the meanings inherent in them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finally categorized the meanings.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free education and active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 gifted education participants. And teacher recommendation, parental support,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voluntary learning were the motivations of applying for gifted education. Second,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have been able to broaden their knowledge on related fields and apply them in a variety of ways due to their in-depth instruction and various experiences in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The report writing and presentation lessons made them feel confident about their inquiry ability and interest in class, and this could be sai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y were a bit disappointed with the limitations of selecting process and the lecture-based class style. Third, the various experiment-oriented classes, projects, and product presentations at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gave them a sense of achievement like a professional, and gave them the opportunity to embody and convince about their careers. In other words, as they were exposed to the environment of gifted education, they learned new knowledge and exploration methods and experienced in-depth learning contents. These experiences have influenced skills, confidence, learning attitude, lifestyle, etc. in science-related fields. Also, they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science-related studies and able to embody career paths. Fourth,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and entered the graduate school of convergence talent and gifted education major in order to become a gifted education expert. The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study the overall fields including how to select gifted, how to teach, and how to operate. Fifth, the direction of the gifted education pursued by participants is to select gifted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cognitive aspects and willingness to do, and to teach them focused on projects, experiments, and discussions. Furthermore, it is to conduct invention classes or maker classes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Based on this study,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work and project.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with gifted education more broad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ubjects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in socially various fields and positions.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gifted educ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will be needed. For the direction of future gifted education, continuous research is needed on how the study participants are preparing as leaders and how to run the gifted class in the future.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