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탄력성과 긍정적 정서가 긍정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

Alternative Title
Influences of Ego-resilience and Positive Emotions on Positive Coping
Author(s)
김초록
Alternative Author(s)
Kim Cho-rok
Advisor
신희천
Department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Publication Year
2010-08
Language
kor
Keyword
긍정적 정서긍정적 대처자아 탄력성
Abstract
자아 탄력성은 스트레스 상황 속에서 효과적으로 회복하는 것을 돕고 다양한 방법으로 긍정적 정서를 유발한다. 긍정적 정서는 확장과 수립 이론(broaden and build theory)을 통해 행동, 사고의 레퍼토리를 확장하고 자원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본 연구는 자아 탄력성과 긍정적 정서가 긍정적 대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횡단적, 종단적,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1에서는 탄력성이 긍정적 정서를 매개로 하여 긍정적 대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긍정적 정서는 탄력성과 긍정적 대처의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2에서는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 간의 관계를 종단적 상호 인과관계 검증에 유용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하여 확인하고자 했다. 그 결과, 긍정적 정서와 긍정적 대처는 동일 시점의 상관은 있으나 종단적인 상호 인과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특정 개입을 통해 유발된 긍정적 정서가 증가한 긍정적 대처를 예측하는지 알아보았고 연구2의 결과와 유사하게, 유발된 긍정적 정서는 동일 시점의 증가한 긍정적 대처를 예측하지만 추후의 긍정적 대처는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과의 차이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시사점이 논의 되었다.
Alternative Abstract
Ego-resilience causes positive emotions by the various ways and helps effectively individuals recovery from stress. The broaden-and-build theory posits that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broaden people's momentary thought-action repertoires, which in turn serves to build their enduring personal resources, ranging from physical and intellectual resources to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This study examined how Ego-resilience and positive emotions may influence positive coping using cross-sectional,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methods. The purpose of study 1 was to examine if positive emotions mediated a 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itive cop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 between ego-resilience and positive cop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positive emotions. Study 2 attempted to repeated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coping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Analysis(ARCL). The results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coping at the same period, whereas they didn’t support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udy 3 aimed to examine that positive emotions caused by a specific intervention may predict increased positive co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emotions caused by the intervention predict increased positive coping at the same period, whereas they didn’t predict positive coping afterwards. The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URI
https://dspace.ajou.ac.kr/handle/2018.oak/1988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 Department of Psychology > 3.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