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약력관리 서비스, 복약순응도 개선 서비스, 부작용관리 서비스 등의 약료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적극적인 지역약국 약사들의 GPP 시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GPP 시행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엇인지를 알아봄으로써 GPP를 시행하는데 대한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3개의 약료서비스의 다양성 요인, 가이드라인의 필요성과 종업원 업무규정 필요성 등 2개의 제도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GPP 시행에 대한 선호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을 거쳐 변수들을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약료서비스 제공에 있어 적극성의 지표로써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양성을 평가하였는데 왜냐하면 지역약국에서 약료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다양한 수단을 활용하는 것은 혁신행동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약료서비스 제공 방법의 다양성은 새로운 아이디어에 의한 서비스 제공 뿐 아니라 외부에서 도구를 인용하거나 기존의 서비스 외에 다른 분야에서 활용되는 서비스 과정을 도입하여 제공하는 등 약료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얼마나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가라는 혁신행동 개념을 통하여 적극성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지역약국 약사들은 약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GPP에는 종업원 업무규정을 담아 시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약력관리 방법이 다양할수록, 부작용관리 방법이 다양할수록, 즉, 약료서비스 제공에 적극적일수록 약료서비스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약료서비스 가이드라인 필요성이 높을수록, 종업원 업무규정의 필요성이 높을수록 GPP 시행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약료서비스 가이드라인의 필요성과 종업원 업무규정의 필요성 등 제도적 요인이 GPP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지역약국 서비스를 위한 제도적 접근인 GPP와 약료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동일시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