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열의에 대한 완벽주의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Gaudreau와 Thompson(2010)의 2x2 완벽주의 모델에 따르면, 각 완벽주의 기질의 높고 낮음에 따라 총 4개의 차원으로 구분된다. 각 차원은 완벽주의적 기준의 내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며, 이는 직무에 대한 개인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 자료 수집을 위해 국내의 대기업 종사자 422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와 직무열의(UWES-9)를 측정했다. 분석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정적인 영향력은 유의했다. 또한,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부적인 영향력에 대한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완충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Gaudreau와 Thompson(2010)의 2x2 완벽주의 모델에서 강조하는 외적인 동기의 내면화 수준을 통한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효과가 직무열의에서도 나타남을 확인한 것이다. 후속연구로는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기준 완벽주의의 상호작용이 실제 직무성과 변인에 미치는 영향력의 검증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lternativ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work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ccording to Gaudreau and Thompson's (2010) 2x2 model of perfectionism, it can b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following the high and low nature of each perfectionism. Each dimension has a different degree of internalization of perfectionistic standards, which affects an individual's job motivation. In order to collect data, 422 employees of the major companies in korea were asked to measure a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Utrecth Work Engagement Scale(UWES-9).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n work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but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was significant. The moder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work engagement were identified. This confirms that the effect of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through the internalization level of external motivations emphasized in the 2x2 perfectionism model of Gaudreau and Thompson(2010) are also shown in work engagement. Thus, future research verify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n job outcome variables.